: 서비스 개발 시 같거나 비슷한 동작들이 생기기 마련이다.
ex) 팝업, 결제 등등
: 자주 사용하는 동작들은 하나로 만들어 두고 재활용하는 것이 좋음
: 중복 코드도 줄어 들고 유지보수도 편하게 되고, 함수는 이를 가능하게 함.
: console, alert, confirm 등은 브라우저가 가지고 있는 내장함수이다.

// 매개변수가 없는 함수 작성
function showError(){
alert('에러가 발생했습니다. 다시 시도해주세요.');
}
showError();
function sayHello(name){
const msg = `Hello, ${name}`;
console.log(msg);
}
sayHello('Mike');
// 결과 Hello, Mike
function sayHello(name){
const msg = `Hello, ${name}`;
console.log(msg);
}sayHello('Mike');
// 결과 Hello, Mike
function sayHello(name){
let msg = 'Hello';
if(name){
msg +=`, ${nmae}`;
}
console.log(msg)
}
sayHello('Mike');
let msg = "welcome"
function sayHello(name){
let msg = "Hello"
console.log(msg + ''+ name);
}
sayHello('Mike');
console.log(msg)
let name = "Mike";
function sayHello(name)
{
console.log(name)
}
sayHello();
sayHello('Jane');
//결과 undefined, Jane
// underfiend는 변수는 존재하지만 값이 할당되지 않아 자료형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를 의미함.
function sayHello(name = 'friend'){
let msg = `Hello, ${name}`
console.log(msg)
}
sayHello();
sayHello('Jane');
//결과 "Hello, friend" \n "Hello, Jane"
function add(num1, num2){
return num1 + num2;
}
const result = add(2,3)
//결과 5
: 한번에 한작업에 집중
: 읽기 쉽고 어떤 동작인지 알 수 있게 네이밍
ex)
showError //에러를 보여줌
getName // 이름을 얻어옴.
createUserData // 유저데이터 생성
checkLogin // 로그인 여부 체크
위 내용은 유튜브 코딩앙마 채널 강의를 보고 정리하였습니다.
코딩앙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