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XML방식의 LinearLayout의 Horizontal과 유사하며 꼭 필요한 정보만 정리하겠습니다.배경 지정 : Modifier.background(color)가로, 세로 채우기 : Modifier.fillMaxSize, fillMaxWidth, fillMax
https://developer.android.com/codelabs/jetpack-compose-layouts?authuser=4&continue=https%3A%2F%2Fdeveloper.android.com%2Fcourses%2Fpathways%2Fcom
https://www.acmicpc.net/problem/1182완전탐색 문제로 모든 부분수열을 재귀로 구해 합을 판단하면 됩니다.단 원소가 1개도 포함되지 않는 경우는 카운트에서 제외해야 합니다.
주소 : https://developer.android.com/codelabs/advanced-kotlin-coroutines?hl=ko코루틴 플로우를 학습해야 하는데 잘 감이 오지 않아 코드랩을 보며 하나하나씩 따라서 해보려고 합니다.필수조건 : Room,
기존에 정의한 Text를 보여주는 Composable 함수에 배경 색상을 적용하려면 Surface로 래핑합니다. 기존에 XML내에 정의하던 뷰의 속성들은 Modifer라는 것을 통해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Text에 Padding을 추가하는 예시입니다.Compo
AAC ViewModel을 사용하다보면 내부의 프로퍼티를 외부에서 변경하지 못하도록 Backing Properties라는 방법을 사용한다. 왜 이런 방법을 사용하는 것일까?예를들어 아래와 같은 Boolean 타입의 Property를 예를 들어보자위 두가지 방식의 차이는
\*\* 본 문서는 Android 공식 문서를 활용하여 정리한 자료입니다 \*\*항상 새로운 기술을 학습할 땐 등장배경과 사용이유를 먼저 아는게 좋습니다. 기존의 안드로이드는 XML로 뷰를 정의했으며 이를 액티비티로 가져와서 이를 관리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매우 많
많이 본 배열돌리기 같은 구현문제입니다 가운데 부터 규칙을 찾아 방향을 바꿔가면서 배열값을 채우고 x=0, y=0에서 멈추면 쉽게 처리할 수있습니다. 코드가 좀 지저분하네요
MSA란 MicroService Architecture의 줄임말로 정확한 정의는 없지만 작고 독립적으로 배포 가능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로 구성된 프레임워크 입니다. 마이크로서비스는 완전히 독립적인 배포가 가능해야하며 다른 기술 스택이 사용 가능한 단일 사업
안드로이드에서 제공하는 ViewModel을 사용할 때, 일반적으로 Repository패턴, 또는 사이에 UseCase를 두고 사용하여 생성자에 아무런 파라미터가 없는 경우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ViewModel의 생성자로 파라미터를 사용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V
최근 많이 등장하는 구현문제, 평소에 자주 틀리던 구현문제이다. 대각선, 열, 행 하나씩 잡고 45도씩 이동시켜 새로운배열을 만들어 retrun하는 메소드를 구현하여 해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