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적인 자바 개발의 경우 객체를 사용하기 위해 객체를 선언하고 해당 객체의 의존성을 생성한 후 객체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한다. 객체를 생성하고 사용하는 일련의 작업을 개발자가 직접 제어하는 구조이다.하지만은..~!제어 역전을 특징으로하는 스프링은 기존 방식과 다르

많은 회사에서 자바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데 스프링과 스프링 부트를 사용하고 있다.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자바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 엔터프라이즈급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스프링은 목적에 따라 다양한 프로젝트를 제공하는데,

MVC(Model View Controller)MVC안에 Spring web Layer를 넣으면 다음과 같다고 할 수 있다.Model : Service, DTO, Repository(DAO), Domain(entity)View : Front-endController :

API의 종류로는 GET, POST, PUT, DELETE 등이 있다.사용되는 어노테이션은 다음과 같다.@RequestController@RequestMapping@GetMapping@PostMapping@PutMapping@DeleteMapping@RequestCon

로그(log)란 컴퓨터 등에 접속한 기록이 컴퓨터 내에 남아있는 것을 의미하며, 로깅(logging)은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동안 동작 정보를 시간순으로 기록하는 것을 의미한다.로깅은 디버깅하거나 개발 이후 발생한 문제를 해결할 때 원인을 분석하는데 꼭 필요한 요소이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이 주 목적이다. 정상적으로 로직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할 것이다. MariaDB를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해 연동을 해보겠다.MairaDB는 기본 포트 번호로 3306을 사용한다.MariaDB를 설치하면 서드파티 도구로 H

View documentation 클릭

Lombok(롬북)은 기존에 VO, DTO, Entity 등의 객체를 생성하고 getter/setter와 toSring 메서드를 따로 만들어주어야만 했던 것을 어노테이션을 기반으로 관련 작업을 쉽게 할 수 있게 해주는 라이브러리 이다.Lombok(롬북)을 사용하면 어노

Spring의 DB 접근 기술은 순수 JDBC -> JDBC Template -> JPA -> Spring Data JPA 순으로 등장했다. 데이터베이스와 연동을 해보면서 자바의 표준 ORM 기술 스펙인 JPA를 사용했었다. 여기서는 Spring Data JPA에서

실무에서 테이블 하나만 사용해서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기능을 구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보통의 경우에는 테이블을 설계하고 연관관계를 설정해서 JOIN을 통해서 기능을 구현하게된다. JPA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도 테이블의 연관관계를 엔티티 간의 연관관계로 표현할



최근에 개발되는 서비스들은 대부분 MSA(Micro Service Architecture)를 채택하고 있다. 기능별로 개발하며, 자신이 가진 기능을 API로 외부에 노출시키고 다른 서버가 해당 API를 호출해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다. 즉, 각 서버가 다른 서버의 클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