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BMS는 동시성제어의 방식으로 MVCC를 사용하고 있다. MVCC ( Multi-Version Concurrency Control )란 데이터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데이터에 대한 버전관리를 통해서 이를 해결한 방식이다. 그 말인즉 데이터를 쿼리하기 위해 Tran
TL;DR AWS EKS 에서 NodeGroup의 auto scaling을 위해서는 Cluster Autoscaler 를 설치해줘야한다. 이 때 Cluster Autoscaler는 EC2 Instance 를 새로 생성하고 지우기 위해서 권한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 때 사
Tl;DR Runtime 도중 인터페이스나 구조체의 타입을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문법 중 하나인 reflect에 대한 다양한 사용 방법을 정리해보자. 변수의 타입을 확인 하기. reflect에는 2개의 타입이 존재하는데 Type, Value 이 두가지가
Kubernetes 에는 Pod를 관리함에 있어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해주는 Resource가 있는데 그 중 Controller 에 대해서 알아보았다.Controller 는 크게 4가지 기능을 제공해준다.Auto Healing: Pod 에대한 helthcheck를 통해
TL;DR 정규표현식 Regular expression 줄여서 regex 로 불리는 문자열의 집합을 표현
TL;DR K8s 환경에서 Pod를 배치할 때 목적에 따라서 특정 node에 배치하고 싶은 상황이 생기게 되는데 이럴 때 고려할 수 있는 것이 nodeSelector, affinity 이다. nodeSelector는 가장 간단하게 특정 node에 pod를 붙일 수 있게
빌드, 테스트, 배포 파이프라인을 자동화 할 수 있도록 해주는 CI/CD platform 을 제공해주는 github 서비스이다.repository 마다 github action workflow를 생성하여서 PR, merge 등 다양한 git action에 대해서 wor
TL;DR Python 의 대표적인 ORM 라이브러리 Sqlalchemy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한 포스팅 Overview ORM이란? Sqlalchemy 란?
Django, FastAPI 등에서 직접 HTTP Request object의 정보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위와 같이 view layer ( Controller ) 에서 endpoint 별로 request 형태로 받아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request에 대
파이썬에서 직렬화 혹은 역직렬화를 진행하려고 할 때 자주 사용되는 모듈이 있다. json과 pickle이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 둘의 차이에 대해서 설명하고 각각의 모듈이 가진 method의 활용법에 대해서 정리하려고 한다.사실 json 은 파이썬에서 직렬화, 역직렬
oauth2.0 공식 홈페이지에서 발췌했다.OAuth 2.0 is the industry-standard protocol for authorization. OAuth 2.0 focuses on client developer simplicity while providin
객체의 멤버변수에 참조하려고 할 때 내부적으로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보자.객체에 대해서 변수에 접근하게 될 때는 무조건 attribute 매서드를 거치게 된다. 외부에서 접근할 때 뿐 아니라 내부적으로 self.멤버변수 로 접근하게 될 때도 attribute 매소드를
의존성 주입이란 내부가 아닌 외부에서 객체를 주입시켜서 서로간의 의존성을 낮추는 방식이다.이렇게 의존성 주입을 하게 되면 얻어지는 여러 장점들이 있다. 테스트 용이성재사용성을 높여준다.코드의 단순화결합도를 낮춘다.객체간의 의존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좀 더 자세히 DI
TL:DR; Spring의 servlet에 대해 찾아보다보니 Tomcat과 Spring에 대한 관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 Tomcat과 Spring에 대한 정리를 하고 WAS 에서의 웹통신 흐름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Tomca
Kafka 란? >Apache Kafka는 실시간으로 기록 스트림을 게시, 구독, 저장 및 처리할 수 있는 분산형 데이터 스트리밍 플랫폼. 빅데이터의 파이프라인 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스트리밍 플랫폼이다. 높은 처리량. 많은 양의 데이터를 묶음 단위로 처리
TCP 란? TC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network로 데이터를 전송 하는 protocol중 하나이다. TCP 와 대표적으로 같이 비교되는 것이 UDP ( User Data Protocol ) 이 있다. 둘의 비교에서 가장
TL:DR; 타 팀과의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서 Message Queue가 필요해서 어떤 것을 사용할까 고민을 하다가 익숙한 AWS 에서 제공해주는 SNS, SQS 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따로 Kafka를 사용하기에는 리소스도 많이 사용해야하고 AWS SNS, S
TL:DR; redis queue 길이에 따른 autoscaling이 필요했는데 keda를 사용 ScaledObjects represent the desired mapping between an event source (e.g. Rabbit MQ) and the K
TL:DR; 간단한 Docs 서비스를 aws s3를 통해서 제공하고자 했는데 그 과정중에 SSL/TLS 인증서가 ACM을 통해서 어떻게 받아지고 관리되는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Cloudflare에 연결하는데 시간을 허비했다. 고쳐나가면서 필요했던 정보들을 기록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