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GIT_GITHUB 위치에 git-practice 폴더를 만들었다. (실제로는 내 프로젝트의 최종 폴더를 git-practice 폴더라고 보면 된다) 참고. vscode에서 폴더 선택 > 터미널 열기: 터미널이 해당 위치에 열림. 내가 git-practice 폴
특정 폴더, 파일을 git에게 맡기지 않는 경우포함할 필요가 없는 경우: 빌드 결과물(자바의 경우 *.class), 라이브러리 등포함하지 말아야 하는 경우: 보안상 민감한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ex. 파일에 서버의 비밀번호가 존재함)\-> 추후 github에 올릴 때
현재 상황 'git status' 입력 시 현재 상황 No commits yet: commit == 버전이라고 생각하자. untracked 파일: git의 관리에 들어간 적이 없는(git이 버전으로 관리해본 적이 없는) 파일, 해당 파일을 버전 안에 넣은 적이 없다는
git으로 프로젝트를 관리하면, 기본적으로 main(과거에는 master)이라는 하나의 브랜치에서 커밋들이 생성된다.새로운 branch 생성하기EX. add-coach라는 이름의 브랜치 만들기기존에는 *.yaml에 team, manager, members만 존재했다.
GitHub(≒ GitLab, Bitbucket) 코드 공유 및 협업 서비스 git으로 관리되는 프로젝트를 온라인 공간에 공유해서 프로젝트 구성원들이 함께 소프트웨어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 모든 업로드, 다운로드를 커밋 단위로 주고받는다. 내가 작업한 커
snapshot 방식(≠ delta 방식)을 사용delta 방식: 원경 파일에 수정이 생길 때, 변경점들이 저장된다. 버전1에는 원본 파일이 저장되고, 나머지 버전에는 변경 사항들이 저장되는 것이다.snapshot 방식: 각 버전에는 파일의 최종본이 존재한다.delta
git의 HEAD특정 브랜치의 가장 최신 커밋switch 명령어를 통해 브랜치를 변경할 때마다 각 브랜치의 HEAD에 위치하게 된다.아래와 같은 커밋 히스토리가 존재한다고 하자.각 말풍선이 가리키는 것은 특정 branch의 HEAD이다. 파란색 말풍선이 가리키는 커밋은
어떤 작업이 이뤄졌는지 누가 보더라도 알 수 있어야 한다(미래의 나도 이 커밋에서 무엇을 했는지 알 수 있어야겠지^^).한 단위의 작업은 하나의 커밋에 담긴다. 한 단위의 작업을 두 커밋에 담거나, 서로 관련 없는 두 작업을 하나의 커밋에 담으면 안 된다.커밋 메시지
1. 기본적인 명령어, 이에 대한 설명을 보고 싶을 때git의 모든 명령어를 보고 싶을 때참고) j로 스크롤 올리고, k로 스크롤 내리고, :q로 닫으면 된다.명령어가 가진 옵션을 보고 싶을 때특정 명령어에 대한 설명, 옵션 등을 볼 수 있다. EX) git help
git의 설정global 설정: config를 '--global'과 함께 지정한다.local 설정: '--global' 없이 config를 지정한다.특정 프로젝트에서만 이름, 이메일을 다르게 하고 싶을 때1. 현재 프로젝트에 적용된 설정 확인하기 (global, lo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