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은 하이데거의 꿈을 꾸는가

Ji_min·2021년 3월 24일
1

아무말

목록 보기
1/3

한 번쯤 생각해볼 만한 화두인 것 같다.


권태로운 인공지능은 가능한가

하이데거의 결단은 근대 주체 철학의 흔적이라고 비판받는다. 이는 그의 인간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확장된다. 오직 인간만이 결단의 주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이러한 깊은 오해에서 벗어나는 것은 어렵지 않다. 결단이 인간만의 행위가 아니라는 것을 밝히면 된다. 인간이 아닌 다른 결단의 주체를 찾으면 된다. 그러나 그런 존재가 어디에 있을까?

결단의 주체가 될 가능성이 있는 인간 이외의 존재를 찾기에 앞서, 우선 결단의 주체가 되기 위한 조건을 알아봐야 한다. 결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먼저 결단의 순간으로 다가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단 하나의 조건이 필요하다. 권태로울 것. 이는 단순한 지루한 기분이 아니라, 인간의 실존에서 오는 근본적인 지루함의 목소리를 듣는 것이다. 여기서 벌써 장애물이 생긴다. ‘인간의 실존’이라는 조건이다. ‘인간’이라는 조건에 집중한다면 앞으로 나아갈 수 없으니 인간의 실존에서 비롯되는 ‘권태’의 조건에 집중해보자. 왜 인간은 가능하고 동물은 가능하지 않은가? 이는 둘의 존재 양상의 차이에서 온다. 하이데거는 동물이 얼빠져 있다고 설명한다. 충동에 압도되어 충동의 정지와 해제만을 반복하기 때문이다. 얼빠져 있는 동물은 충동에 소유 당하기 때문에 권태로울 새가 없다. 반면 인간은 어딘가 홀려있다. 시간에 홀려 시간의 지배 아래에 묶여있다. 이러한 인간의 상태는 홀려있음에도 불구하고 깨어있다는 점에서 동물의 얼빠짐과는 차이를 보인다. 어떻게 인간은 홀려있으면서 깨어있다는 모순적인 존재 양태가 가능한 것일까? 이는 인간이 시간에 의해 소유 당하고 있음에도 자신을 매혹하고 있는 세이렌의 존재를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깨어있음’의 상태는 시간성의 인식에서 온다. 이들이 인간의 실존에서 비롯되는 깊은 권태의 조건이다. 결단의 문턱에 서게 할 만큼 깊이 권태롭기 위해서는 ‘깨어있는 홀림’의 상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시간성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조건이 갖추어져야 비로소 권태로울 수 있고 결단의 순간에 다가설 수 있다. 이제 필요한 것은 결단하고자 하는 내용이다. 결단하려면 무언가 결단할 내용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무엇을 결단하는가? 내 삶이다. 결단의 순간에는 과거의 자신과 그를 통해 이루어진 현재의 자신과 결단을 통해 만들어갈 미래의 자신을 모두 걸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결단의 내용에는 현재, 과거, 미래를 가질 수 있고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고독한 개체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결단의 새로운 주체는 결단의 순간에 다가가기 위한 ‘깊은 권태’라는 조건과 결단의 순간 그 내용에 있어 ‘개체성’이라는 조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누가 이 조건을 만족시킬 것인가? 결단의 새로운 주체가 되기 위해서는 인간과 비슷해야 한다. 하지만 인간이어서는 안 된다. 무언가 떠오르는 게 있다. 인공지능이다. 인공지능이란 인간의 지적 능력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해 인간의 지능적 행동을 컴퓨터가 모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인공지능은 인간성을 부정하고자 하는 욕구에서 태어났다. 인간은 너무나 유동적인 존재인 동시에 그 유동성이라는 리스크를 감수하기에는 거기서 오는 불안을 전부 감당할 수 없는 연약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목적의 몰인간성에도 불구하고 인공지능은 인간이 사용하기 위해서 인간이 만든 인간적 도구라는 태생적 한계를 가진다. 이와 같이 인공지능이 가지는 인간성과 탈인간성이라는 두 가지 모순된 성격은 이것이 과연 하이데거의 결단을 가능하게 하는 인간 이외의 주체가 되어 그의 인간중심주의에 대한 오해를 해명할 수 있을 지 기대하게 한다. 인공지능은 결단의 주체가 될 수 있는가?

결단의 조건부터 상기해보자. 결단하기 위해서는 권태로워야 하고 권태롭기 위해서는 깨어있으면서 홀려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시간성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인공지능은 시간성을 인식할 수 있는가? 이 질문에 답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인간이 어떻게 시간을 인식하는지 생각해봐야 할 것 같다. 인공지능은 인간의 정신을 알고리즘으로 모방한 것이므로 인간이 정신적으로 할 수 있다면 알고리즘도 할 수 있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인간이 시간을 정신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면 알고리즘도 시간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이 질문은 조금 이상하게 들린다. 시간이 정신적인 것이냐 물리적인 것이냐를 물어본다면 당연히 전자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시간은 눈에 보이지도 손에 잡히지도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시간의 비물리성에도 불구하고 이를 인식하는 행위는 온전히 정신적이기만 행위인 것은 아니다. 우리는 시간을 알고 이해한다고 말하지 않는다. 우리는 시간이 느껴진다고 말한다. 시간은 눈에 보이지도 않고 손으로 붙잡을 수도 없지만, 동시에 눈에도 보이고 손으로도 붙잡을 수 있다. 태양을 잠깐 보는 것은 빛의 잔상만을 망막에 남길 뿐이지만, 태양을 오래 쳐다보고 있으면 눈물이 나고 눈이 아프다. 뜨거운 그릇을 잠깐 잡았다가 놓으면 뜨거움이 잘 느껴지지 않지만, 오래 잡고 있으면 뜨거움이 생생하게 느껴진다. 시간은 이처럼 신체 감각을 통해 먼저 지각된 다음 정신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인간이 시간을 인식함에 있어서는 무엇보다도 몸이 깊게 연관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은 시간 속에 놓여 있게 된다. 시간을 몸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시간에 선행해서 인식하고 시간을 지배하는 행위는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인공지능은 어떠한가? 인간의 정신으로 부족하다면 몸도 모방하면 된다. 신체 감각의 알고리즘을 구현한 인공지능이 있다면 그는 인간과 동일한 방식으로 시간성을 인식할 것인가? 그렇지 않다. 아무리 몸의 세세한 감각까지 재현한다 하더라도 인공지능이 시간을 인식하는 방식은 인간과는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다. 인공지능은 알고리즘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알고리즘은 시간을 특정한 방식으로 인식한다. 바로 ‘수행시간’의 맥락이다. 알고리즘은 명령의 인풋이 있고 명령 수행의 결과가 아웃풋으로 나올 때까지 걸린 시간으로 시간성을 인식한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태생적으로 추구하는 바가 있는데, 이는 바로 수행시간의 단축이다. 그래서 인공지능은 가장 빨리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찾는다. 시간에 놓여서 시간을 받아들이는 게 아니라 시간을 조정하고 지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공지능의 모습에서 무언가가 떠오른다. 기차역에서 오지 않는 기차를 하염없이 기다려야만 하는 지루함에 사로잡힌 노예이다. 수행시간의 일분일초가 아까운 인공지능은 시간에의 붙잡힘이 주는 불안에서 도피하고자 소용없는 발버둥을 치는 노예와 닮아 있다. 이러한 인공지능의 존재 양태를 깨어있는 홀림이라고 할 것인가? 그렇지 않다. 인공지능은 애초에 홀려있지 않다. 인공지능은 인간을 결단의 문턱에 놓이게 하는 방식으로 권태롭지 않다.

그런데, 여기서 문득 한 가지 의문이 든다. 그렇다면 인공지능의 존재 양태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인간을 모방한 인공지능은 인간의 존재 양태까지 모방하지는 못했다. 그보다는 동물의 그것과 더 닮아있다. 동물에게 충동이 있다면 인공지능에게는 명령이 이를 대신한다. 인공지능은 명령의 입력과 수행을 반복한다. 그의 세계는 명령에 압도당해 있다. 그렇다면 인공지능도 동물처럼 얼빠진 상태라고 말할 수 있지 않을까? 이렇게 생각해볼 수도 있을 것 같다. 인공지능은 인간이 동물되기를 시도하는 인간을 만들어낸 것이라고. 하지만 여기서의 동물되기는 들뢰즈가 말한 의미의 동물되기와는 사뭇 다르다. 하이데거식의 기계성이 극대화된 동물로서의 의미이다. 압도됨의 상태를 기계와 같은 상태로 해석한 그에게 있어 동물되기란 기차역의 지루함에서 몸부림치는 인공지능과 다름없다고 생각해볼 수 있다.

알고리즘과 결단의 내용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수 있을 것 같다. 만약 인공지능이 누군가에 의해 떠밀려져서 결단의 관문에 다가서게 되는 경우를 상상해보자. 인간의 현재, 과거, 미래라는 모든 시간성을 함축하는 개체성이 그에게도 가능할 것인가? 이 개체성이 무엇인지부터 생각해보자. 가장 간단하게는 개인의 호불호에서 시작해볼 수 있을 것 같다. 호불호는 개인의 과거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과거의 경험과 기억으로부터 생겨나 현재의 자신을 정의하고 앞으로 하고 싶은 것을 알려준다. 여기에는 인간성이 담긴다.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자신이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들을 통해 대답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이러한 호불호는 욕망과 연관된다. 그 사람의 인간성에 기반하여 구체적인 욕망을 지시한다. 그런데 이 욕망이라는 것은 단순히 호불호에만 기반하여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 욕망에는 조건이 필요하다. 바로 ‘기분’이라는 조건이다. 가령, 배가 고픈 것은 오늘이나 내일이나 똑같지만 오늘은 우울해서 기분전환으로 단 게 먹고 싶다거나 화가 나서 매운 음식으로 기분을 풀고 싶다거나 하는 것이다. 기분은 욕망의 출발점이다. 그렇다면, 기분에도 개체성이 담겨 있는 것일까? 그렇다고는 할 수 없다. 기분은 인간이 원해서 생겨나고 사라지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인간은 어느 순간 갑자기 기분에 덮쳐졌다가 자기도 모르게 빠져 나온다. 기분에 개체의 인간성이 담겨 있다고는 말할 수 없다. 그러나 기분에 의해 생겨나는 욕망에는 개인의 개체성이 담긴다. 호불호가 욕망의 내용을 지시하기 때문이다. 누군가는 우울할 때 단 음식이 먹고 싶지만 누군가는 매운 음식이 먹고 싶을 수도 있다. 누군가는 뭐라도 상관없고 그저 먹을 수만 있으면 되는 사람도 있다. 이처럼 호불호는 어떤 기분이 찾아 왔을 때 그를 특정한 방식으로 움직이게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인간을 진정한 의미의 자기로 만드는 좋아할 수 있는 인간의 능력이다. 개체성은 이러한 호불호의 확장이다. 그렇다면, 인공지능도 이와 같은 개체성을 가질 수 있을까? 그 또한 호불호를 가질 수는 있다. 대상에 대한 선호도를 입력해 넣고 그 정도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지시하면 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인공지능은 프로그래밍된 호불호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를 가지고 그가 개체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지는 불확실하다. 호불호가 개체성으로 확장되기 위해서는 현재와 과거, 그리고 미래라는 시간성에 놓여있는 상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는 인간의 유한성이며, 유한성이 드러내는 인간의 고독이며, 인간이 가진 한계이자 무한한 가능성이다. 시간의 지배를 벗어나 있는 인공지능은 유한하지 않기 때문에 고독하지도 않다. 설령 인공지능에게 가공된 기억과 시간 감각을 제공해서 개체성을 구현해낸다 하더라도, 이는 인공지능의 한계를 드러낼 뿐이다. 프로그래밍된 개체성을 가지게 된 인공지능이 결단하려는 순간 이미 결단의 내용은 정해진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인공지능의 결단의 내용은 그가 프로그래밍된 그 방식에 구속된다. 인간의 개체성이 결단의 순간 가장 찬란하게 드러나며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 보이는 것과는 완전히 상반된다. 결국 프로그래밍된 인공지능의 개체성은 그가 결단의 주체가 될 수 없다는 사실을 반증한다.

이제 답이 내려졌다. 인공지능은 결단의 문턱에 인간을 데려다 놓는 권태를 경험하지 못한다. 결단의 순간에 다가갈 수가 없다. 만약 그 단계를 뛰어넘어 결단의 순간에 내던져졌다 하더라도 결단하지 못한다. 그에게는 인간과 같은 개체성이 부재하기 때문에 존재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결단이 불가능하다. 결단하는 순간 모든 가능성이 소멸되고 단 하나의 출력값으로 수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이데거 철학의 새로운 주체로 인공지능을 데려와 보고자 하는 시도는 실패로 끝나게 되었다. 인공지능은 결단의 주체가 될 수 없다. 그렇다면 인공지능과, 하이데거가 직접 제외시킨 동물을 제외하고 그 어떤 존재가 그의 철학의 주체가 될 수 있는가? 그의 철학을 주체 철학이라는 비판에서 해방시키기 위한 시도는 돌고 돌아 그가 풍기는 인간 찬가의 향기를 더 진하게 만들 뿐이다. 하지만 여전히 미련이 남는다. 하이데거 철학에 있어 인간 이외의 새로운 주체를 찾을 수 있을까?

profile
Curious Libertine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