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MC 1주차 스터디가 시작되었다. 앞으로 워크북 내용을 정리해 나갈 예정이다. 1주차의 주제는 가장 기본적인 서버란 무엇인지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서버란 무엇인가? 클라이언트에 대한 응답을 주는 것 OS에 의해 동작하는 프로세스이며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하는 프

선행지식 서브넷 서브넷의 등장 배경 클래스를 나누어 IP를 할당하는 IPv4 주소 체계는 상당한 양의 호스트 낭비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비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 장치들의 수에 따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브넷이 등장함 서브넷과 서브넷 마스크 서브

NGINX에서의 정적콘텐츠 호스팅 웹 브라우저에서 아이피 주소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80번 포트가 붙어서 NGINX에 요청이 간 후 응답이 온다. nginx의 설정 파일(ubuntu 기준) /etc/nginx/sites-available -> default 파일 위

ERD는 언제 설계하는 것이 좋을까? 프로젝트 시작과 동시에 설계하는 것이 좋다! 1차 목표는 큰 틀을 정해두는 것 실제 개발을 진행하면서 필요한 내용을 수정해나가면된다. 처음에 빠르게 ERD를 설계하여, 모두가 공통된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인지한 후 작업을 하는 것이

테이블 조인 조인은 데이터베이스 내의 여러 테이블에서 가져온 레코드를 조합하여 하나의 테이블이나 결과 집합으로 표현해 주는 것이다. INNER JOIN 조인하는 테이블의 ON 절의 조건이 일치하는 결과만 출력 조인에 부합되지 않는 레코드는 모두 삭제된다. 표준 SQ

API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애플리케이션을 프로그래밍 할 때,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들을 의미한다. REST API란? HTTP 메소드와 자원을 이용해 서로 간의 통신을 주고받는 방법이다. API E

패키지 종류 domain JPA에서 사용하기 위한 엔티티 클래스 저장하기 위한 패키지 controller http 요청이 오면, 그에 대한 응답을 주는 클래스들을 모아둔 패키지로, 응답을 주기 위한 과정들을 service에서 처리하도록 한다. service 비즈니스 로

API 응답 통일이 필요한 이유 API 응답의 양식이 항상 일정해야 프론트 입장에서 개발이 편리해진다. 따라서 매우 중요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보통 위와 같은 양식을 따른다. 실패한 경우에는 result에 null을 주고 null일때는 표시를 하지 않는 설정 추

깃허브 이슈 & 브랜치 만들기 깃모지 사용하여 라벨 꾸미기 이슈 생성 깃모지를 이슈 제목에 쓰면 좋고, 어떤 것에 대한 이슈인지 [FEAT]이런식으로 명시하자! > Assignees : 누구에게 할당 될 업무인지 Labels : 어느 종류의 라벨인지 선택 Deploym

페이징 조회 API에서 정보가 너무 많을 경우 한번에 이 데이터를 가져오려고하면 엄청난 렉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끊어서 보여주는 것을 페이징이라고 한다. 다음과 같이 Spring Data JPA에서 메서드 이름만드로 SQL을 만들어주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re

UMC 6기 회고록 - SpringBo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