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지니씨·2022년 9월 19일
0

기타

목록 보기
13/22

호스트, 호스팅, 도메인, 노드, 포트

  • 네트워크/인터넷에서 호스트는 네트워크/인터넷을 통해 다른 컴퓨터들과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 즉 네트워크/인터넷에 연결된 장치
  • 호스트는 다른 호스트와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자신들을 구분하는 특수한 번호(IP주소)를 가짐
  • 도메인 네임
    •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를 식별하는 호스트 네임
    • e.g. naver.com
  • 호스트 네임
    •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 또는 서버들에 부여되는 고유한 이름
    • e.g. mail.naver.com 의 mail, comic.naver.com 의 comic
  • 호스팅
    • 서버를 만든 후 네트워크에 띄워서 서비스하는 일련의 과정
    • IP와 서버를 연결하는 작업
  • 노드
    • 네트워크 공간 상에 있는 모든 장치
    •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위해 네트워크 주소가 할당된 노드
    • e.g. 컴퓨터, 스마트폰, 모뎀, 허브, 스위치
  • 포트
    • 호스트 내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를 구분짓기 위한 식별자
    • 16비트로 구성, 0~65535 범위
    • 0~1023 유명 서비스에 예약된 포트 (root 권한 필요)
      1024~49151 일반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
      49152~65535 OS가 자동으로 임시 할당 (클라이언트 접속용)

리눅스 명령어

  • telnet [IP 또는 도메인] [포트]
  • tracert(Windows 용), traceroute(Unix, Linux, MacOS 등의 Unix 기반 운영체제용)
    • tracert -d [IP주소 또는 도메인]
    • 실행하는 컴퓨터에서 목적지 서버로 가는 네트워크 경로
    • ping 과 동일하게 ICM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경로를 확인해주는 역활
    • ICMP 프로토콜을 제한하는 라우터가 중간에 존재할때 해당 정보를 파악할 수 없음
    • 최대 30홉(30단계)까지만 진행 됨
    • https://note-ing.tistory.com/38
  • ping

게이트웨이

한 네트워크(segment)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기 위하여 거쳐야 하는 지점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이 다를 경우에 중재 역할을 함
하위계층(1~3레이어)에서 주로 라우터가 이러한 역할을 수행
상위계층(4~7레이어)에서 상이한 프로토콜들 간의 특수한 변환을 담당하는 복잡한 sw를 수행하는 서버를 의미하기도 함

네트워크 장치

허브

스위치

  • 브로드캐스트

라우터

  • 한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는 네트워킹 장치
  • 1:1

공유기

  • 허브나 스위치처럼 소규모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장치지만, IP 주소를 할당하는 기능이 있어 인터넷을 연결해주는 장치

참고

profile
하루 모아 평생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