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네트워크의 기본 구성 / OSI 7 Layer(1)

작은 범위 내에서 인터넷을 연결한 것을 LAN(Local Area Network)이라고 한다. 각 LAN은 특정한 프로토콜로 운영되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규격은 Ethernet이다.

2개 이상의 LAN을 넓은 지역에 걸쳐 연결한 것을 WAN이라고 한다. 이 때 LAN을 직접 연결하지는 않고 통신 사업자(SKT, KT...)가 제공하는 ISP를 사용해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Layer 1 (Physical Layer)

물리 계층.
물리적으로 두 기기가 연결만 되어 있다면 통신이 가능
1계층끼리 통신하는데에는 특별한 인코딩 / 디코딩은 들어가지 않는다. 컴퓨터가 보내는 2진수로 된 데이터를 전선으로 흘려보내기 위해서 필요한 디지털 - 아날로그 신호의 변환이 일어난다.
데이터 전달 단위는 bit

위에서 본 Layer 1의 방식으로 2대 간의 통신은 어렵지 않겠지만, 컴퓨터가 늘어날수록 물리적으로 모든 컴퓨터를 연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

그래서 고안해낸 방법이 BUS 형태의 연결이다.

물리적으로 모든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공동으로 공유하는 구간을 통해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런 전선의 형태를 라우터 모양으로 만들어 놓은것을 더미 허브라고 한다. 위 그림에서 중간을 관통하는 큰 전선(아마 구리선일것이다)을 상자 모양으로 축소해놓은것이라 보면 되겠다.

Layer 2에는 여러 컴퓨터가 한 곳에 물려있기 때문에, 그냥 2진수 데이터를 전송한다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 누가 누구에게 보내는 데이터인가?
  • 데이터가 섞이면 어떻게 구분할것인가?

그래서 Layer 2에서 여러가지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만든 컴퓨터에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만든 장치가 **L2 스위치 , L2 스위치 - L2 스위치 간 연결이 가능하도록 만든 것이 라우터**다.

결론적으로 L2 layer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능이 가능해졌다.

  • 네트워크 규칙을 정하자!
    • 대표적으로 ethernet. MAC 주소를 기반으로 header에 정보를 넣어 통신 규칙을 가지고 통신을 한다.
  • 데이터 송수신자를 명확히 하자!
    • ethernet header에 포함되어 있는 MAC 주소를 알면 원하는 기기에만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이론적으로는 L2 단계에 있는 두 컴퓨터라면 MAC 주소를 가지고 있는 header와 데이터만 있다면 통신이 가능하다.
  • 데이터 충돌을 방지하자!
    • 스위치의 주요 기능 중 하나. 스위치 내부에는 MAC 주소 테이블이 있어 연결되어 있는 포트 - MAC 주소 등록이 가능한 **MAC 주소 학습기능** 을 기반으로 데이터 충돌을 막을 수 있다.
    • 또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고, 프레임 앞뒤로 구분자를 넣어 마구 섞이는 2진수 속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아낼 수 있다(트레일러).

데이터 전달단위는 frame


나머지 계층들은 다음에

https://bit.ly/3FVdhDa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profile
Devops, AWS에 관심있어요.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