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나무위키-AESyoutube-AES Rijndael Cipher1\. 키 확장 (Key Expansion, Key Schedule)키를 각 라운드에 사용할 만큼 생성한다. AES는 키 길이가 128, 192, 256 비트를 사용하는 3종류인데, 키 확장이 되면 1
출처 - 위키 >고급 암호화 표준(Advanced Encryption Standard, AES)은 2001년 미국 표준 기술 연구소(NIST)에 의해 제정된 암호화 방식이다. AES는 두 명의 벨기에 암호학자인 존 대먼과 빈센트 라이먼에 의해 개발된 Rijndael(
출처 - 위키순환 중복 검사(巡環重復檢査), CRC(cyclic redundancy check)는 네트워크 등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전송된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체크값을 결정하는 방식을 말한다.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주어진 데이터의 값에 따라
출처 - 위키패리티 비트(Parity bit)는 정보의 전달 과정에서 오류가 생겼는지를 검사하기 위해 추가된 비트이다. 문자열 내 1비트의 모든 숫자가 짝수 또는 홀수인지를 보증하기 위해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각 문자에 1 비트를 더하여 전송하는 방법으로 2가지 종
체크섬 - 위키체크섬(checksum)은 중복 검사의 한 형태로, 오류 정정을 통해, 공간(전자 통신)이나 시간(기억 장치) 속에서 송신된 자료의 무결성을 보호하는 단순한 방법이다.통신에서 순환 중복 검사(CRC)를 체크섬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엄밀히 말하면 체크섬은
암호화 해시 함수 - 위키역상 저항성주어진 해시 값에 대해, 그 해시 값을 생성하는 입력값을 찾는 것이 계산상 어렵다. 즉, 제 1 역상 공격에 대해 안전해야 한다. 이 성질은 일방향함수와 연관되어 있다.주머니 : 해시 결과값해시값으로부터 원본 데이터를 찾기 어려움.
균일성해시 함수의 출력값 분포에 대한 성질. 고르게 분포되어 있을수록 균일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눈사태 효과 avalanche effect입력값이 약간만 바뀌어도 출력값이 굉장히 많이 바뀌는 효과. 알고리듬의 규칙을 쉽게 유추하기 어려워진다. 엄격한 눈사태 기준(St
회전된 배열에서 최소값 찾기 (java)역시 정렬된 상태에서 회전된 배열입니다.1,2,3,4,52,3,4,5,13,4,5,1,24,5,1,2,35,1,2,3,4위와 같은 크기 5짜리 배열의 구성이 있다고 가정하고 시작합니다.1\. midIndex 기준으로 최소값 판별m
회전된 배열에서 이진 탐색으로 값 찾기 (java)아래와 같은 크기 5짜리 회전된 배열이 있다고 가정해보자.1,2,3,4,52,3,4,5,13,4,5,1,24,5,1,2,35,1,2,3,4이진탐색은 우선 mid = (start+end)/2 인덱스, 해당 배열의 가운데부
출처 - 위키 >P-NP 문제는 복잡도 종류 P와 NP가 같은지에 대한 컴퓨터 과학의 큰 문제로 컴퓨터로 풀이법이 빠르게 확인된 문제가 컴퓨터로 빠르게 풀리기도 할 것인가 아닌가를 묻고 있다. 1971년 스티븐 쿡이 그의 논문 〈The Complexity of The
출처 - 위키NP-난해, NP-hard는 NP에 속하는 모든 판정 문제를 다항 시간에 다대일 환산할 수 있는 문제들의 집합이다. 다시 말하면, NP-난해는 적어도 모든 NP 문제만큼은 어려운 문제들의 집합이다.NP-난해 집합에 속하는 문제가 NP에도 속하면 NP-완전에
출처 - 위키NP-완전(NP-complete, NP-C, NPC)은 NP 집합에 속하는 결정 문제 중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의 부분집합으로, 모든 NP 문제를 다항 시간 내에 NP-완전 문제로 환산할 수 있다. NP-완전 문제 중 하나라도 P에 속한다는 것을 증명한다면
출처 - 위키NP는 비결정론적 튜링 기계(NTM)로 다항 시간 안에 풀 수 있는 판정 문제의 집합으로, NP는 비결정론적 다항시간(非決定論的 多項時間, Non-deterministic Polynomial time)의 약자이다.NP에 속하는 문제는 결정론적 튜링 기계로
출처 - 위키P(PTIME 또는 DTIME(nO(1)))는 결정론적 튜링 기계로 다항 시간 안에 풀 수 있는 판정 문제를 모아 놓은 복잡도 종류이다. 선형 계획 제품, 최대공약수 문제 등이 P에 포함되며, 2002년에는 주어진 숫자가 소수인지 판별하는 문제도 P에 속한
꼬리 호출은 어떤 함수에서 다른 함수 호출 후 더이상 연산이 없는 경우를 말한다. 스택 프레임은 함수 내에서 사용 중인 변수와 함수 호출 후 돌아갈 주소 등이 저장된다. 꼬리 호출은 함수 반환 후 추가 연산이 없기때문에 호출자로 바로 반환되고, 스택 프레임을 필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