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번console.log("response: " + JSON.stringify(response.data));2번console.log("response: ", response.data);위의 두 코드를 보면, 어떤 차이가 있는지 생각해보자.먼저 눈에 띄는 건 JSON.s

웹, 앱을 개발하다보면 포트, DB 관련 정보, API_KEY 등등.. 개발자 혼자서 또는 팀만 알아야 하는 값이 있다. 즉 git이나 오픈소스에 올리면 안되는 값이다.이때 필요한 것이 dotenv 패키지이며, 환경변수 파일을 외부에 만들어 URL, 포트, API_K

현재 버전 확인: % node -vnpm 캐시 제거: % npm cache clean -fNode.js 버전 관리 모듈 n 설치: % npm install -g nn 모듈을 사용해 Node.js 설치root 권한 필요안정 버전: % sudo n stable최신 버전:

매 컴포넌트가 증가함에 따라 스타일 코드의 일관성이 떨어진다. => 유지보수 비용의 증가스타일 속성값들이 중구난방이라 어떤 속성을 갖고있는지 코드로 확인이 어렵다 => 협업에서의 문제스타일마다 다른 속성을 갖고 있어서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 비효율성 증가이런 문제점을

Node, npm 업그레이드 방법위와 같이 설치되어 있는 installed와 실제 사용 중인 active의 경로가 다를 땐 어떻게 해야 할까?% ln -sf <installed 경로> <active 경로>위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그럼 아래처럼 경로가 일치하

개발을 하다 보면 겉보기엔 같은 결과를 내는 코드가 실제로는 완전히 다른 결과를 만들어내는 경우가 있습니다. 최근 프로그래머스의 문제를 풀면서 저 역시 비슷한 경험을 했습니다. 문제의 코드: 같은 모양, 다른 결과 두 코드 모두 n x n 크기의 2차원 배열을 생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