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Tag

PromptAction·2024년 8월 27일
0

프론트엔드

목록 보기
15/16

뭐에요 ?

  • 웹 페이지(Web Page)의 요약.
    • Head Tag 사이 또는 뒤에 있어도 되지만, 무조건 BODY 앞에 위치해야 한다.
  • 속성에는 뭐가 있나요?
    • http-equiv

    • name

    • content

      http - equiv

      • 웹 브라우저 서버에 명령을 내리는 속성
      • name 속성을 대신해 사용할 수 있다
      • html 문서가 응답 헤더와 함께 웹 서버로부터 웹 브라우저에 전성되었을 때만 의미를 가짐
      • content 속성의 정보/ 값을 위한 HTTP Header를 제공
      • html5 에서는 meta charset = "UTF - 8" 로 사용 가능

      name

      • 정보 이름
      • 몇 개의 메타 정보의 이름을 정할 수 있으며, 지정하지 않으면 http-equiv와 같은 기능

      content

      • meta 정보의 내용을 지정
      • name 속성과 http-equiv와 연관된 값을 준다

그럼 Meta Tag에 필수로 들어가야 할 속성이 뭐가 있는지 보자.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HeaderBar from '@/components/headerBar'
import Login from '@/components/loginpagecomponents/login'
import Head from 'next/head'

function LoginPage() {
    return (
        <>
            <Head>
                <meta charSet="UTF-8"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title>Login</title>
                <meta name="author" content="양진우" />
                <meta name="title" content="Login" />
                <meta name="application-name" content="Login" />
                <meta name="Date" content="2021-09-01" />
                <meta name="description" content="User Login Page" />
                <meta name="keywords" content="Login, User, Authentication" />
                <meta name="robots" content="index, follow" />
                {/* Open Graph */}
                <meta property="og:title" content="Login" />
                <meta property="og:url" content="/temp" />
                <meta property="og:type" content="website" />
                <meta property="og:image" content="/images/Login" />
                <meta
                    property="og:description"
                    content="User Authentication Page"
                />
            </Head>
            <Login />
        </>
    )
}

export default LoginPage

하나씩 보자

<meta charSet="UTF-8" />
  • 문서의 문자 인코딩을 지정(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 name : 메타 태그의 이름
  • content : 뷰포트의 너비를 장치의 너비로 설정하고 초기 배율을 1.0으로 설정
<meta name="author" content="홍길동" />
  • 문서의 저자 정보
<meta name="title" content="Login" />
  • 문서의 제목
<meta name="application-name" content="Login" />
  • 애플리케이션의 이름
<meta name="Date" content="2021-09-01" />
  • 문서의 날짜
<meta name="description" content="User Login Page" />
  • 문서의 설명
<meta name="keywords" content="Login, User, Authentication" />
  • 문서와 관련된 키워드
<meta name="robots" content="index, follow" />
  • 검색 엔진 크롤러에게 페이지를 인덱스하고 링크를 따라가도록 지시
<meta property="og:title" content="Login" />
  • property : Open Graph 프로토콜 속성
  • content : OG 제목
<meta property="og:url" content="/temp" />
  • 페이지의 URL
<meta property="og:type" content="website" />
  • 콘텐츠의 유형 ( 여기서는 웹 사이트)
<meta property="og:image" content="/images/Login" />
  • 공유 시 표시될 이미지의 URL
<meta property="og:description" content="User Authentication Page" />
  • Open Graph 설명

OG 는 뭐에요?

  • Open Graph의 약자로 웹 페이지의 메타 데이터를 정의하는 포로토콜임. OG 태그를 사용하면 소셜 미디어에서 어떻게 표시될 지를 제어한다.

장점 : 미리보기 개선, SEO 향상

ex ) 카톡에 링크만 보내면 사진+ 페이지 내용 조금 + 설명 + 링크 등등이 같이 뜨는 것.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