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막한 공부의 첫 시작이다. HTML이 뭐임?! 이라고 질문을 받았을때 아무 대답을 하지 못했던 상태보다는 나아지길 바래보면서 내 입맛대로 적어볼거다.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의 공식 개념은 '웹을 이루는 가장 기초적인 구성 요소
CSS는 HTML로 만들어졌다. 콘텐츠에 디자인요소와 레이아웃을 정의 하는 기술로 잘 설계된 css는 재활용이 가능하다. 템플릿의 형태로 확장될 수 있고 JavaScript와 연계해 콘텐츠의 내용이나 디자인을 동적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Cascading Style Sh
'useState'는 React에서 간단한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훅(Hook)중 하나이다. React는 컴포넌트 기반 라이브러리로, 컴포넌트 상태를 관리, 화면을 업데이트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적으로 제어하는데 사용된다.'useState'는 함수 컴포넌트에서 상태를
Next.js의 page 개념부터 시작한다.pages 디렉토리에 리액트 컴포넌트 파일을 추가하면 따로 설정해 주지 않아도 해당 URL에 접근했을 때 자동 라우팅이 구현된다.즉pages 폴더 안의 파일 이름이 해당 페이지의 주소가 된다는 것이다.그 중 Link 컴포넌트를
React의 Hook 이 뭐에요?hook이란 특별한 함수를 이야기한다. 예를들어 useState는 state를 함수 컴포넌트 안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그럼 언제 hook을 써요?함수 컴포넌트를 사용하던 중 state를 추가하고 싶을 때 컴포넌트로 바꾸곤 했지만 함수
useEffect도 react의 hook 중 하나다.진짜 쉽게 설명하자면 'useEffect'는 언제 어떤 작업을 실행할 지 알려주고, 필요하면 작업을 멈출 수 있게 도와주는 도구이다.Effect hook은 함수 컴포넌트에서 side effect를 수행할 수 있다.si
모달이 뭐에요?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주 사용되는 UI 요소. 사용자의 현재 작업 흐름을 중단시키고 특정 정보를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입력을 요구하는 창. 보통 화면 중앙에 나타나며, 배경을 흐리게 하여 사용자의 주의를 모달 내용으로 집중시킴.특징은 뭐에요?중첩된 UI :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서 선택할 수 있는 옵션들을 리스트 형태로 보여주는 요소. 일반적으로 버튼이나 입력 필드 등을 클릭하면 숨겨진 메뉴가 아래로 펼쳐지며, 사용자는 그 메뉴에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할 수 있음. 드롭다운은 공간을 절약하고, 여러 옵션을 깔끔하게 정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하는 특정 이벤트(클릭, 입력, 포커스 등) 에 반응하여 실행되는 함수를 의미함.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처리하는 데 사용된다.쉬운것부터 보자.함수 정의이벤트 핸들러 연결 : HTML 요소에 이벤트 핸들러를 연결한다. React 에서는 JSX에서
IA = Information Architectur = 정보 구조도서비스의 목차.웹, 어플리케이션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보여주며 어떤 기능의 화면으로 보여지는지를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도구.개발자와 디자이너가 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만든 문서이기도 하며 기존 웹 사이트처
기초로 돌아가서 다시한번 정리를 해야할것같아서 쓴다. JSX란 ? Javascript를 확장한 문법. JavaScript XML의 약자. React에서 사용된다. 특징 HTML과 유사한 구문. HTML에서 쓰는 , , 같은 태그를 JSX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URL 추가예정
jwt를 사용하다가 localstorage의 token을 가져와서 jwtDecode를 사용 후 정보를 얻어 사용하려는 도중 jwtDeocde의 값을 콘솔로그로 찍어 봤을 때 정상 출력됬지만 정작 typescript에서 값을 제대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생겼었다..이렇
뭐에요 ?웹 페이지(Web Page)의 요약.Head Tag 사이 또는 뒤에 있어도 되지만, 무조건 BODY 앞에 위치해야 한다.속성에는 뭐가 있나요?http-equivnamecontenthttp - equiv웹 브라우저 서버에 명령을 내리는 속성name 속성을 대신해
button 태그의 속성중에 disabled라고 있다.이게 뭐냐말 그대로 버튼을 비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버튼을 비활성화 하여 사용자가 클릭하거나 상호작용 할 수 없도록 설정하는 속성이다.기본 사용법\-> disabled 속성이 추가되면 버튼이 회색으로 표시되며 사용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