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L : 웹이 게시된 리소스를 검색하기 위해 브라우저에서 사용하는 메커니즘. Uniform Resource Locator의 약자.
URL은 웹에서 주어진 고유 리소스 주소에 지니지 않음. 이론적으로 각각의 유효한 URL은 고유한 리소스를 가리킴.
통칭 Web Address
웹 페이지를 찾기 위한 주소를 말한다.
URL은 웹 사이트 주소 뿐만 아니라 컴퓨터 네트워크상의 자원을 모두 나타낼 수 있다. 그 주소에 접속하려면 해당 URL에 맞는 프로토콜을 알아야 하고, 그와 동일한 프로토콜로 접속해야한다.
Protocol(Scheme)
브라우저가 리소스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해야 하는 프로토콜을 나타냄.
중앙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통신 규약으로, 웹에서는 브라우저와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방식으로 HTTPS/HTTP 프로토콜이 자주 쓰임.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만든 통신규약.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 HTTP에서 보안이 강화된 버전
Domain Name
도메인은 IP 주소를 갖는 서버를 사용자가 쉽게 기억하고 찾을 수 있도록 만들어준 서비스. 실제 컴퓨터와의 통신에는 숫자로 표현된 주소(IP)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를 변화시켜 줄 네임 서버가 필요하다.
TLD(Top-Level Domain) : 도메인 레벨 중 가장 높은 단계. 도메인의 목적, 종류, 국가를 나타냄(.com, .net etc..)
SLD(Second-Level Domain) : 호스트, 서브 도메인으로 불리기도 함. 보조 도메인으로써 URL로 전송하거나 계정 내의 IP 주소나 디렉토리로 포워딩되는 도메인 이름의 확장자이다 (www., m. etc..)
Domain Name : 임의로 지정할 수 있는 사이트의 이름. google, naver 등 사용자에게 쉽게 기억될 수 있도록 보통 서비스명으로 도메인명을 지정함.
Port
포트 번호를 통해 어떤 서버를 이용할지 결정하며, : 뒤에 나온다. 웹 서버가 HTTP 프로토콜의 표준 포트(HTTP의 경우 80, HTTPS의 경우 443)을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생략되기 때문에, URL 기본적으로 표준 포트번호가 생략되있음.
Path
웹 서버에 있는 리소스의 경로. 요즘에는 대부분 물리적 실체가 없는 웹 서버가 추상적으로 처리됨.
Parameter
파라미터 = 쿼리스트링. key(파라미터의 이름) = value(파라미터의 값) 형태로 이루어진다. ?뒤에 나열되고 & 기호로 구분되어 여러개가 존재할 수 있다. 추가적인 정보를 줄 때 사용
Anchor(=Fragment)
Hashtag라고도 부르며 특정 요소를 지시할 수 있다. 해시태그로 이동을 원하는 요소의 id 링크를 연결하면 스크롤 이동없이 바로 해당 위치로 이동한다.
참고자료 :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Learn/Common_questions/Web_mechanics/What_is_a_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