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ssengerController, messengerRuter를 알아본다.
들어가기login, register부분의 front부분을 알아본다.front부분은 redux를 사용하기 떄문에, 어려울 수 있는데, 이번 로직으로 확실히 배워보자.
들어가기1\. authenticate 관련해서, backend부터 시작해봅니다.DB만드는 방법, DB connect를 확인한다.
들어가기socket.io의 두번째 파트로client->server->client로data가 전송되는 과정을 잘 확인한다.
express, socket.io의첫번째excrise.socket.io는 realTime, 즉, 실시간 통신이죠여기서는client->server,server->client로 주고 받는 통신을 다룬다.서버쪽 socket.io구성.
들어가기mern의 첫번째 POST.우선 Authorization을 먼전 정리하고, 다음 이어서 정리를 한다.인증부분은 jsonwebtoken이 app, web 모두 무난하게 사용하기가쉽다고 생각이 든다. 이것을 마지막으로 더이상 authorizartion부분은 다루지
드디어 deploy를 해 봅시다!https://www.mongodb.com/에 가서 회원 가입을 한다.1\. 가입을 하게 되면 나오는페이지이다.2\. 왼쪽 맨 위에 폴더부분을 클릭하면 new project를 생성할 수 있게 되어있다. new project를
들어가기비디오에 댓글달기를 해 봅시다Comment 들어간 부분만 확인할것!!Comment들어간 부분만 확인한다.pug파일의 form에서 바로 server로 날리는 방법과js파일로 argument를 날리는 방법을 잘 비교하면서 잘 봐둔다.comment를 server에서
image와 video를 s3에 upload 해보자aws에 가입하고 bucket을 만든다. 검색창에서 S3라고 입력한다.2\. 검색에서 S3를 검색해서 이 페이지에 왔으면, 버킷만들기를 클릭한다.3\. 버킷이름은 unique로 하고 리전은 서울을 선택한다.4\. 객체
video의 view count를 새어주는작업, 그리고 view count를 DB에 저장해서다시뿌려주는 작업.api를 사용하는데, rendering 하는것 없이 api가사용되는 구조를 잘 알아 놓는다videoController안에 '/api/id/view로 접근했을떄,
들어가기JS를 이용해서, watch.pug에 비디오 controler를 만들어본다.play, mute, fullScreen등등.JS를 다시 복습하고 익혀 보도록 한다.\---------부분은 참고만 하라고 남겨둠.
들어가기위의 POST에서 scss 사용하기 위한 config 작업을마무리 했으면, 실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tailwind가 진리인듯.ㅜㅜ바로바로 compile될 수 있게npm run dev:assets를 실행시켜 놓아야한다.1\. src/client부분에 scs
webPackJS를 pug파일에서, client쪽에서 사용할 수 있게 compile해 주는 library.여기서는 sass와 Js를 client에서, pug파일에서사용할 수 있게 webPack을 해 준다.sass는 css로 변환하고 css를 client에서사용할 수 있
들어가기 github로 로그인을 해 본다 flow가 거의 같기 때문에 이걸 익히면 kakao login, facebook login등을 쉽게 할 수 있음. https://docs.github.com/en/developers/apps/building-oauth-app
들어가기express에서 file upload를 알아본다.일단은 server에 먼저 올려보고 나중에 aws S3에 저장하고 path를 받아보는걸로 한다.express에서 file Upload를 하기 위해서는 multer를 이용한다.npm i multeruserSchem
EditProfile다른 부분은 크게 문재될게 없으나password edit할 경우 다시hash화 시켜야 되므로 password change부분에 집중해서 봐준다.NOTICE!!! session에 다시 입력시키는 이유는 session은 DB가 아닌memory에 wr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