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A vs MPA & CSR vs SSR Single Page Application과 Multiple Page Application, 그리고 Client Side Rendering, Server Side Rendering의 차이를 알아보자. 📌 1. SPA
많은 초보 개발자들은 크로스 브라우징이 무엇인지 잘 알지도 못해 고려하지 않고 웹 페이지를 개발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물론 나를 포함해서.나는 그러다가 내가 만든 웹 페이지를 크롬이 아닌 파이어폭스를 통해 켜보았고 나는 경악했다. 페이지의 css가 심각할 정도로 깨
개발을 하다 보면 가끔 상태 관련 로직을 컴포넌트 간에 재사용하고 싶은 경우가 생깁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통적인 방법이 두 가지 있었는데, higher-order components와 render props가 바로 그것입니다. Custom Hook은 이들 둘
📋 퀵 정렬 알고리즘 이 포스팅에서 알아볼 퀵 정렬은 1960년에 찰스 앤터니 리처드 호어가 개발한 방법으로 이후 많은 사람들이 수정 보완하여 완성된 정렬 알고리즘이다. 이 알고리즘은 처음 소개된 이후로 반세기가 넘었지만 현존하는 가장 빠른 정렬 알고리즘 중 하나
사용한 기술 스택FE : TypeScript React.js styled-component Vite 등JUSTCODE 6기 부트캠프 과정이 끝나고 본격적으로 구직 활동을 시작하기 위해 포트폴리오를 이 블로그에 올리기 시작했습니다.굳이 포트폴리오를 블로그에 올린 이유는
지금까지 배운 정렬 알고리즘(버블, 선택, 삽입 정렬)은 큰 규모에 맞지 않는 알고리즘이다.우리가 이제부터 알아볼 빠른 알고리즘 집합은 시간 복잡도를 O(n^2)에서 O(n log n)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알고리즘이다.그중 합병 정렬(Merge Sort)에 대해 먼저
삽입 정렬은 자료 배열의 모든 요소를 앞에서부터 차례대로 이미 정렬된 배열 부분과 비교하여, 자신의 위치를 찾아 삽입함으로써 정렬을 완성하는 알고리즘이다.말로만 듣는다면 어떤 방식인지 이해하기 힘들 것이다.작동방식을 시각화한 자료를 통해 직접 확인해보자.https&#x
📋 CORS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 란? 웹 개발자라면 한번쯤 이러한 에러를 마주쳐봤을 것이다. > 🚨 Access to fetch at ‘https://cors.api.com’ from origin ‘http://localhost:3000’ has been
useCallback 또한 useMemo와 마찬가지로 memoization 기법으로 컴포넌트 성능을 최적화 시켜주는 훅이다.앞서 알아본 useMemo을 복습하면 useMemo는 자주 쓰이는 값을 메모이제이션, 즉 캐싱해준다. 그리고 그 값이 필요할때 다시 게산을 하는
📋 useMemo란? useMemo는 리액트에서 컴포넌트의 성능을 최적화 하는데 사용되는 훅이다. useMemo에서 memo는 memoization을 뜻하는데 이는 그대로 해석하면 ‘메모리에 넣기’라는 의미이며 컴퓨터 프로그램이 동일한 계산을 반복해야 할 때, 이
수웅이는 매달 주어진 음식을 빨리 먹는 푸드 파이트 대회를 개최합니다. 이 대회에서 선수들은 1대 1로 대결하며, 매 대결마다 음식의 종류와 양이 바뀝니다. 대결은 준비된 음식들을 일렬로 배치한 뒤, 한 선수는 제일 왼쪽에 있는 음식부터 오른쪽으로, 다른 선수는 제일
오래전 유행했던 콜라 문제가 있습니다. 콜라 문제의 지문은 다음과 같습니다.ㅤ정답은 아무에게도 말하지 마세요.ㅤ콜라 빈 병 2개를 가져다주면 콜라 1병을 주는 마트가 있다. 빈 병 20개를 가져다주면 몇 병을 받을 수 있는가?ㅤ단, 보유 중인 빈 병이 2개 미만이면,
개발 공부를 시작하고 지금까지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하고, 또 자바스크립트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하지만 타입스크립트라는 언어를 알게 된 후부터 자바스크립트의 단점이 내게 부각되기 시작했고, 결국 에러 및 버그의 사전 확인, 유지 보수의 장점 등등 다양한 이유로 타
🏢 협업 기업 : (주)위닝아이FE : 김진영개발기간 : 10/15(토) ~ 10/19(수)사용한 기술 스택FE : JavaScript React.js Recoil styled-component MUI chart-js 등주식회사 위닝아이와 함께한 기업 협업 과제입니다
🏢 협업 기업 : (주)하이FE : 김진영 박찬영 정세영개발기간 : 10/11(화) ~ 10/14(금) 10:00사용한 기술 스택FE : JavaScript React.js styled-component MUI 등주식회사 하이와 함께한 기업 협업 과제입니다.과제 내용
🏢 협업 기업 : (주)바딧FE : 김정연 김진영 이기완 이혜림개발기간 : 10/7(금) ~ 10/9(일) (3일)사용한 기술 스택FE : JavaScript React.js styled-component nivo react-beautiful-dnd 등Pre-Onbo
🏢 협업 기업 : (주)비트바이트FE : 김정연 김진영 이기완 이혜림개발기간 : 10/4(화) ~ 10/6(목) (3일)사용한 기술 스택FE : JavaScript React.js styled-component hangul-js 등Pre-Onboarding 과정에서
📋 FLOrida 💡 팀명 : FLOrida 클론 사이트 : https://www.music-flo.com/ FE : 김진영 김충만 임지영 최승철 BE : 김교은 이신희 개발기간 : 9/19(월) ~ 9/30(목) 14:00 (12일) 사용한 기술 및 라
📋 ROECY' Chocolate 📌 팀명 : 열품타 (열내지말고 품위지키며 타자치자) 팀장 : 김진영 FE : 김진영 김유현 정예원 천찬영 BE : 오서준 오지호 사용한 기술 및 라이브러리 FE : JavaScript React.js sass react
📋 차트 페이지와 게시판 만들기 프리온보딩 과정 마지막 과제가 끝났다. 이제 타입스크립트 세션을 듣고 이력서와 포트폴리오만 작성하면 드디어 저스트코드 과정이 끝난다. 아쉽지만 아쉬운걸 뒤로하고 일단 후기부터 작성해보겠다. 📌 1. 과제 소개 Githu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