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 정렬은 루프를 돌며 가장 작은 것을 선택해서 앞으로 보내는 정렬방법이다.저번에 살펴본 버블 정렬과는 가장 작은 것을 선택한다는 부분이 확실히 다르다.사실 말보다는 작동방식을 직접 눈으로 보는게 이해가 빠를 것이다. 한번 살펴보자.https://visual
버블 정렬은 원소의 이동이 거품이 수면으로 올라오는 듯한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지어진 이름이다. 작동 방식은 옆에 있는 데이터와 비교하여 더 작은 값을 점점 앞으로 보내는 방식이다.사실 버블정렬은 그렇게 효율적인 정렬방법이라고 할 순 없지만 다른 정렬 알고리즘에 비해서
이번 포스팅에선 배열 메소드에 이어 자주 쓰이는 문자열 메소드를 정리해보겠다.문자열 내에 인수로 전달한 문자열이 포함되어있는지 확인하고 인덱스를 반환한다.fromIndex는 문자열에서 찾기 시작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인덱스 값이고, 어떤 정수값이라도 가능하다.문자열에 특
📋 class란? JavaScript는 prototype기반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그렇다면 JS에 왜 class가 추가된 것일까? ES6부터 추가된 class는 직관적으로 쉽게 코드를 읽을 수 있게 만들어 줄 뿐만 아니라, 작성하기도 쉽고 또 class
📋 비동기 처리 async, await 정리 자바스크립트는 단일 스레드 언어이다. 단일 스레드 언어라는 건, JavaScript는 최대 한 번에 한 줄의 코드만 실행한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코드 중간에 5초정도 걸리는 예를들어 데이터베이스에서 용량이 큰 이미지를 가
📋 this 파헤치기 다른 언어를 사용하다가 JavaScript를 처음 쓰는 사람들이 자주 헷갈려하는 개념중 하나가 바로 this이다. 다른 언어와는 달리 동작하기 때문인데, 일반적으로 this는 class에서만 사용하며, class로 생성한 인스턴스 객체를 의미
append와 appendChild 모두 부모 메소드에 자식 메소드를 추가하는 메소드이다.언뜻 보면 비슷해보이는 두 메소드,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이번 포스팅을 통해 함께 알아보자.우선 append 메소드를 살펴보면, 노드 객체뿐만 아니라 문자열 또한 추가할 수 있다
Javascript의 데이터 타입인 undefined와 null,null은 다른 언어에서도 사용되는 리터럴이지만 Javascript에서 undefined를 처음 마주한 사람은 당황하기 마련이다.그럼 한번 undefined와 null을 비교해보자.undefined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