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명령어_링크파일 리다이렉션

Jiyeong·2022년 1월 13일
0

linux

목록 보기
3/6

링크 파일

In : 다른 파일 참조

링크 파일
-하드 링크 파일
-소프트 링크 파일(심볼릭 링크 파일)

1) I-Node
// 파일 경로 정보를 제외한 모든 정보를 가짐.
// 실제 데이터와 파일 이름을 연결시켜주는 다리 역할.
// 시스템에서 파일을 인식할 때 사용하는 고유 번호.
// 리눅스에서 모든 파일들은 고유의 i-Node 번호를 가짐.
// 같은 파티션 내에서만 같은 i-Node 정보를 가짐.

2) 하드 링크 파일
// 동일한 i-Node 사용
// 원본 수정 시 하드링크도 수정
// 원본 삭제 시 살아 있음
// 원본 이동이나 삭제시 남아 있음
// 파일 복사는 공간을 차지하지 않음

3) 소프트 링크 파일
// Window 바로가기 아이콘과 비슷
// 주로 사용자가 많이 사용
// 긴 디렉토리명 이동시 유용 ex) /tmp/abc/hello/bbb/hi/test/hola
// 새로운 i-Node 생성
// 원본 자체 포인터 역할 뿐이라 원본 수정 시 수정된 파일이 보임
// 원본 삭제 시 링크가 끊김

4) 링크 파일 명령어
#In -F[파일명 또는 디렉토리 경로][링크 경로] : 하드 링크
#In -s[파일명 또는 디렉토리 경로][링크 경로] : 소프트 링크

예시)
1. 루트의 홈 디렉토리에서 LINK 이름의 디렉토리 생성 #mkdir LINK
2. test 파일 만들기(파일 내용 link test 입력 후 저장) #vim linktest
3. 명령어를 입력해 화면에서 출력해 파일이 정상적으로 생성되었는 지 입력 저장이 올바르게 되었는 지 등 확인
#ls -al linktest
#more linktest
4. 하드 링크 파일 생성 #In linktest hardlink
소프트 링크 파일 생성 #In -s linktest softlink
5. 명령어를 입력해 생성된 파일에 i-node 값 확인(옵션 활용) #ls -il
6. linktest 파일을 이동시켜 소프트 링크 파일 동작 확인 #mv /root/linktest /root

리다이렉션

명령의 출력 변경 가능
기본적으로 명령어 결과는 화면에 출력되지만 리다이렉션을 이용하면 파일에 기록.

연산자 : >, >> , <
명령어 > 파일 : 파일이 없다면 생성하고, 있다면 기존의 내용을 지움.
명령어 >> 파일 : 파일이 없다면 생성하고, 있다면 기존의 내용에 추가.
명령어 < 파일 : 파일에서 표준력을 받음.

// ]# echo hell > hello.txt
// ]# more hello.txt
// ]# echo hello >> hello.txt
// ]# more hello.txt
// ]# ls /bin > /tmp/list_file
// ]# ls /root >> list_file

cat > test.txt // test.txt 파일을 생성해서 입력하는 내용을 파일에 출력
1
2
3
4
hello
^C (Ctrl + C)

#more /root/text.txt >> 저장된 파일 확인 가능

출처 : 시농준

profile
깃스타가 되고 싶은 벨플루언서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