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명령어_프로세스

Jiyeong·2022년 1월 13일
0

linux

목록 보기
4/6
post-thumbnail

프로세스

df : 리눅스 시스템 전체의 디스크 사용 상태 확인
// 파일시스템, 디스크 크기, 사용량, 여유 공간, 사용률, 마운트 지점(디렉토리와 연결된 파티션)

-df[옵션]

<옵션>
-k : 단위 KB
-m : 단위 MB
-h : 사용자가 보기 좋게 단위 표시되어 출력
-T : 파일 시스템 타입 출력

du : 디렉토리 사용량 확인(잘 사용 안 함)

  • du [옵션]

[옵션]
-a : 모든 파일 및 디렉토리에 대한 정보 출력
-h :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용량의 단위 표시(KB, MB, GB)
-l : 하드링크 용량까지 모두 계산
-s : 사용량의 총 합계 출력
-S : 하위 디렉토리 표시하지 않고 각각 나누어 출력

free : 메모리 상태 출력
[옵션] -b, -k, -m, -g

grep : 문자열 패턴 검색
grep[검색문자열][파일명] (파일명에서 해당 문자열을 검색하라)
grep[옵션][검색 문자열][파일명]

<옵션>
-r : 서브 디렉토리를 포함해 검색
-c : 문자열을 포함하는 행의 수 출력
-n : 일치되는 행 번호 출력
-v : 일치되지 않은 행만 출력
-w : 문자열이 하나의 단어인 경우만 검색
-i : 문자열의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음

#grep root /etc/passwd
#grep -c root /etc/passwd

ex) grep ROOT /etc/passwd 하면 검색결과 안 나옴
grep -i ROOT /etc/passwd 로 -i 사용해주면 결과 나옴
파이프라인 사용 ex) more /etc/passwd | grep root
(원래 /etc/passwd를 화면에 출력할 것을 그 내용에 grep root로 root 들어간 문자열 검색)

[cron]
//특정 시간에 명령어 실행시켜주는 데몬, 스케줄링 관련 디렉토리 또는 파일
/etc/crontab(cron.d/, cron.deny, cron.monthly/, cron.daily/, cron.hourly/, cron.weekly/)
//> 관리자가 직접 지정한 작업들을 설정

/var/spool/cron
	//> 일반 사용자를 위한 crontab 파일 위치
	//> 일반적으로 root 계정용 하나와 계정 사용자당 1개의 파일을 가진다.

/etc/cron.d
	//>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설치할 때 필요한 주기적인 작업을 등록하는 공간

/etc/cron.deny와 /etc/cron.allow 
	//> 프로세스 사용 제한과 허용을 설정하는 파일
    
  #crontab -l : 예약된 작업 리스트
  #crontab -e : 예약된 작업 수정
  #crontab -r : 예약된 작업 삭제
  #crontab -u 사용자명 : 해당 사용자의 crontab 파일을 보거나 삭제, 편집 가능
  

등록 내용 설정(역순으로 요일 월 일 시 분)

**설정 파일 경로 : /etc/crontab**
분 : 0-59
시 : 0-23
일 : 0-31
월 : 1-12
요일 : 0-7(0,7 일요일)

// ex) 10 9 * * * shutdown -r now  // 매요일 매월 매일 9시 10분에 컴퓨터 재부팅
//* 0-23/2 * * *  //: 매 두시간마다
//30 2 * * * /root/bin/backup.sh  //: 매요일 매월 매일 2시 30분에 backup.sh 실행
//*/05 * * * *  //: 5분 마다

등록 후 프로세스 시작 -> 설정 후 리스타트
#service crond [start | restart | stop]
// /etc/rc.d/init.d/crond가 있기에 위에 service crond가 가능
#/etc/rc.d/init.d/crond [start | restart | stop] ★★★경로외우기★★★
#/etc/init.d/crond [start | restart | stop]

profile
깃스타가 되고 싶은 벨플루언서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