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배운내용
📍 inline의 left,right 공백속성은 적용가능하다
📍 마진 병합 (부모,형제), 태그별 사용법
<열린태그 속성="속성값">컨텐츠 </닫힌태그>
<!DOCTYPE html> <!-- HTML5 문서임을 선언 -->
<html> <!-- HTML 문서 시작-->
<head>
<meta charset=”UTF-8”> <!-- 문자코드 인코딩 -->
<title></title> <!-- 웹사이트 제목(탭) -->
</head>
<body>
<!-- 상단 영역 -->
<header>
<h1></h1> <!-- 로고 혹은 사이트제목 -->
<nav> <!-- 메뉴버튼 담는 공간 -->
<ul>
<li><a>홈</a></li> <!-- ul>li>a 와 주로 사용 -->
<li><a>메뉴</a></li>
<li><a>메뉴</a></li>
</ul>
</nav>
</header>
<!-- 본문내용 영역 -->
<main role="main">
<article> <!-- 태그내에 구역을 대표하는 h존재해야함 -->
<h4>구역 대표 타이틀</h4>
</article>
<article> <!-- 태그내에 구역을 대표하는 h존재해야함 -->
<h4>구역 대표 타이틀</h4>
</article>
</main>
<!-- 하단 영역 -->
<footer>
<div></div>
</footer>
</body>
</html>
목차 : 내비게이션
header 태그nav 태그 : 메뉴버튼을 담는 공간(navigation)ul, li, a 와 함께 사용본문 : 웹사이트 내용본문
main, article 태그main : role=”main” 반드시 필수적으료 표시해줘야한다! (익스플로어 지원X때문)article : 정보를 담고 구역을 설정, 태그내에 구역을 대표하는 타이틀 h 태그 존재부록 : footer,정보
footer 태그 : 가장 하단에 들어가는 정보 표기| Block | Inline |
|---|---|
| y축 정렬 | x축 정렬 |
| 공간 존재 | 공간 X |
| width,heihgt 적용 가능 | width, height 불가능 |
h,p,div | a, span |
선택자 { 속성 : 속성값; }
width, height, border-.., font-..(family 사용시 마지막 디폴트 snas-serif),text-..(align,decration,,) background..background : yellow url(경로) no-repeat left;border : solid 1px black 우선순위 : style속성 > ID > Class > Type
. 사용해서 작성# 사용해서 작성박스모델 : margin > border > padding > content
Block요소와 Inline요소
Inline 요소⭐️ 마진 병합 현상 : 모두 block 일때 발생
margin-bottom 과 margin-top 중 숫자가 큰값으로 적용display : block, inline, inline-blockfloat float:left; 를 연속적으로 입력float:right; 도 마찬가지로...* : 모든 태그 선택html, body{} 혹은 *{} 으로 공백제거 (실무에선 * 을 많이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