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uma Dream Machine
-> lumalabs.ai/dream-machine: 프롬프트 입력해 자신이 원하는 영상 만들어줌
생성형 인공지능: 대규모 데이터셋 → 인공지능 → 새로운 콘텐츠 생성
LLM(Large Language Model) ‘거대 언어 모델’: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전 학습된 초대형 딥러닝 모델
y = f(x) << [y: model output, f: model, x:input data]
기존의 인공지능 결과물 = 숫자, 확률, 분류 ↔ 생성형 인공지능 결과물 = 자연어, 이미지, 오디오
AI 일상화 → 업무 생산성 → 검색 패러다임 전환 →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인공 일반 지능)로 가기 위한 멀티 모달
*멀티 모달: 인간이 컴퓨터와 시각, 청각을 비롯한 여러 양식을 통해 정보를 주고 받는다 ↔ 유니 모달
한글 데이터/국내 데이터 학습가 위주인 클로버X와 큐(cue:)
G: Generative 생성형
P: Pretrained 사전 학습
T: Transformer 트랜스포머 학습 알고리즘
[Openai Platform] Google Open AI Platform
playground → 텍스트 가중치 알 수 있다
ChatGPT에게 페르소나(Persona)를 적용할 수 있다!
인공지능이 범용적으로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형태로 갈 것이다: 인공 일반 지능 ‘AGI 시대’
GPT-4o (옴니): 인간의 응답 시간과 비슷, 더 자연스러운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1) 답변이 사실을 포함하지 않는다면 → ChatGPT 사용에 적합
2) 답변이 사실을 포함하며 답변을 직접 검증할 수 있고, 사실 검증 없이 사용한 경우 법적 책임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 → 적합
모델마다 학습된 기간이 다르다 (pretrained)
12345 * 67899 =? 라는 질문을 하면
코드로 계산을 해서 → 나온 결과를 → 들고 와서 창에 보여준다
ChatGPT가 내놓은 답변의 우측 [>_} click
프롬프트 설계: 구체적인 지시 → 답변 검토 ↔ 프롬프트 수정 (피드백)
프롬프트 템플릿
대화의 기본 육하원칙 5W 1H
유용한 프롬프트 기법
답변을 최적화하는 역할 (Role) 기법
당신은 [기획자]입니다. 다양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홍보하는 것이 당신의 역할입니다.
→ 상세하게 역할 설정 시 사용
Act as [기획자]
→ 역할만 명확하게 설정 시 사용
#role : [기획자]
→ 여러 가지 명령 프롬프트와 동시 사용, 마크다운 형식
답변 정확도를 높이는 Few-Shot 기법
→ shot 많을수록 정확도 높아진다는 논문의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