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클라우드 캠프-DevOps] 6일차

정지안·2023년 6월 15일
0
post-thumbnail

6일차(6/14수)

Java

do~while문 (잘 안쓰는데, 조건문을 적어도 한 번 실행하고싶을 때)

보안체크

  • while 문은 반복 실행 전에 조건을 검사하므로, 조건이 거짓일 경우 아무런 반복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 반면에 do-while 문은 반복 실행 후에 조건을 검사하므로, 적어도 한 번은 실행이 보장


while문

while문 예제 1

while문 예제 2 : x값을 scanner로 스캔해서, 10이상일 경우 10미만이 될 때까지 반복해서 모든요소를 sum값으로 합하라.

중첩 반복문

  • 반복문 안의 반복문


분기문

continue문

  • 특정 조건은 건너뛰고 싶을 때 사용
  • 조건으로 가는 것
  • switch문에서 쓰지 않음
  • 반복문에서만 사용.

continue 예시 1

continue 예시 2

break

  • 특정 조건에서 조건문을 끝내고 싶을 때 사용
  • switch
  • 반복문

나를 포함하고 있는 첫 번째 for문만 빠져나간다!

break 예시1

break 예시2

void

return


예를들어, 일을 할 때!

  1. method를 부름.

2-1. 결과물을 돌려줄 게 있으면 return 을 쓴다.

2-2. 돌려줄 필요가 없으면 void를 사용하면 된다.


😋 ctrl + shif + O = 자동 import


메서드를 쉽게 생각하는 법! () 앞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 메서드란?
    • 클래스 내에서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

메서드의 종류

  • 표준 라이브러리 메서드
  • 사용자 정의 메서드
    • 정적 메서드
    • 인스턴스 메서드
      • (설계도를 만들 때 라고 한다.)

자바는 메모리를 나누어서 쓴다.

나누어서 쓰기 때문에

  1.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
  2. 가비지 컬렉션(Garbage Collection)
  3. 멀티스레드 지원

스태틱이 붙어서 들어가는 영역이 따로 있다?

스태틱영역에는 같은 영역의 것이 ‘하나만’있어야 한다.

객체가 만들어서 들어가는 영역은 따로있다?

메서드 사용법!

이런식으로 따로 정의하면 순서 상관없이 실행할수있음.

메서드 호출 예시1

메서드 호출 예시 2

CSS

  • list-style-type:square;
    • list style 설정
  • box-shadow
    • 박스 그림자

MySql

show

  •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컬럼, 사용자, 권한 등과 관련된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
  • show databases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있는 모든 데이터베이스의 목록을 조회합니다.
  • show tables
    • 선택한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모든 테이블의 목록을 조회합니다.
  • show columns from 특정테이블
    • 특정 테이블의 컬럼 정보를 조회합니다.
  • show creat table 특정테이블
    • 특정 테이블의 생성 구문을 조회합니다.

%

  • 모든의 의미 '%'

  • % 예시 1

_ (underbar)

  • 한 글자만 표시 '_'(underbar)

  • _ 언더라인 예시 1

>= , <=

시작 알파벳 B와 J사이 데이터 조회

like

  1. SELECT * FROM users WHERE name LIKE 'J%': 이름이 'J'로 시작하는 모든 사용자를 선택합니다.
  2. SELECT * FROM users WHERE name LIKE '%son%': 이름에 'son'이라는 문자열을 포함하는 모든 사용자를 선택합니다.
  3. SELECT * FROM users WHERE name LIKE 'A_m': 이름이 'A'로 시작하고 중간에 하나의 문자가 있는 모든 사용자를 선택합니다.

조건

null 값 호출

where comm = null;

where comm is null;

where comm is not null;

order by

정렬

distinct

  • 중복 없애고 하나만 출력

실무에서 사용하지마라.

desc

Python

ord

문자를 입력받아 ASCII 코드 값으로 변환

  • n = ord(input())

chr

ASCII 코드 값에 해당하는 문자를 반환하는 함수

  • next_char = chr(n + 1)

map

a,b = int(input().split(" "))
c= a-b
print(c)

위 정보는 틀렸다!!

list는 정수로 한 번에 치환이 안된다.

따라서

a,b = map( int, input().split(" ") )
c= a-b
print(c)

로 작성되어야한다.

profile
1% 개발자를 향해:: 개발 공부 일지를 써나갑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