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풀

Lumi·2021년 11월 16일
0

코인 및 용어 정리

목록 보기
4/16
post-thumbnail

🔨 요약

탈중앙 금융 생태계를 뒷받침하는 기초 기술 중 하나이다.

이는 자동화된 시장 메이커(AMM), 대출, 이자농사등의 핵심이 된다.

간단하게 말하면 커다란 디지털 더미에 쌓여있는 자금이다.

  • 누구나 추가할수 있다.

🔨 유동성 풀이란..?

스마트 콘트랙트 내에 동결되어 있는 자금들을 말한다.

유니스왑과 같은 탈중앙 거래소의 핵심 기술이라고 할수 있고

유동성 풀에 자금을 동결시킨 사용자를 유동성 제공자 라고 한다.

이들은 자심의 자금을 동결시킨 대가로 풀에서 발생하는 거래 수수료를 동결시킨 자금의 지분만큼 분배받는다.

  • 이자를 받는것과 같다.

누구나 유동성 공급자가 될 수가 있다.

🔨 유동성과 오더북 비교

오더북은 특정 시장에서 현재 체결되지 않은 주문들의 모음이다.

보통은 매칭엔진을 통해서 체결되지 않은 거래들을 체결 시킨다.

그러나 탈중앙 금융 거래는 중앙화된 주체가 없기 떄문에 온체인상에서 거래가 체결되게 된다.

이 방식은 많은 수수료가 발생하기 떄문에 많은 비용이 들어가게 된다.

하지만 제 3자가 없기 떄문에 수수료를 납부할 대상이 없고 이런 수수료는 결국 시장 메이커에게 막대한 수수료를 부과한다.

  • 시장 메이커를 오더북을 생성하는 사람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처리속도가 느린 블록체인은 수십억 달러의 거래를 처리할 수가 없다.

그러기 떄문에 온체인 오더북 거래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즉 일단 거래가 안되는 거래들을 처리하기 위해 유동성 풀이 존재한다고 이해를 하자

🔨 작동 원리

가격은 특수한 알고리즘에 의해 정상적으로 정해 진다

유동성 풀에 동결되어있는 자금을 이용해 토큰을 만들어 내고 그 토큰을 이용해 오더북에 처리되지 않는 것들을 처리 하는 것이다.

이로인해 자금에 유동성이 주어진다.

처리를 할떄 발생하는 수수료를 통해서 유동성 제공자들 즉 자금을 동결시킨 사용자들에게 배분해 준다.

쉽게 말해 동결된 자금을 활용해 시장에 활기를 주는 것이다.

🔨 후기

사실 제대로 이해를 했는지는 잘 모르겠다..

내가 이해한 바로 적어 보았고 해당 내용은 나의 사견이 포함되어있기 때문에 틀릴수 있다.

profile
[기술 블로그가 아닌 하루하루 기록용 블로그]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