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inPage

양혜정·2024년 3월 30일
0

HTML/CSS/JS 실행

목록 보기
4/60


HTML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메인 페이지 만들기 연습</title>

<!-- <link rel="stylesheet" href="/HTML5/ch03_id_class/css/mainPage.css">
							맨 앞에 / 가 나올때를 절대경로 라고 부른다.  -->
							
<!-- <link rel="stylesheet" href="./css/mainPage.css">
							맨 앞에 / 가 없을 경우를 상대경로 라고 부른다.
							./ 의 뜻은 현재경로를 말하는 것이다. -->
<link rel="stylesheet" href="css/mainPage.css">	
							<!-- 상대경로를 나타낼때 현재경로를 뜻하는 ./ 는 생략가능하다. -->				
</head>
<body>
	<div id="container">
		<div id="header">
			<div>
				<span>메일</span>
				<span>카페</span>
				<span>블로그</span>
				<span>부동산</span>
			</div>
		</div>
		<div id="side" class="custom">
			여기는 Side 입니다.
			여기는 Side 입니다.
		
		</div>
		<div id="contents" class="custom">
			여기는 Contents 입니다.
			여기는 Contents 입니다.
		
		</div>
		<div id="footer">
			<div>
				회사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쌍용강북교육센터 <br>
				담당자 : 양혜정 hemint@naver.com
			</div>
		</div>
	</div>

</body>
</html>

CSS

@charset "UTF-8";

body{
	/* 확인용 : background-color: red; */
	font-family: Arial, "MS Trebuchet", sans-serif;
	/* 대부분 기본 폰트 : Arial, "MS Trebuchet", sans-serif; 폰트명에 공백이 있을경우 "" 을 해주어야 한다. */
	border : solid 0px gray;
	
	word-break : break-all;
	/* 공백없이 영어로만 되어질 경우 해당구역을 빠져나가므로 이것을 막기위해서 사용한다. */
	
	/* === 여백설정 === */
	/* == margin은 바깥여백 이다. == */
	/* margin: 100px 100px 50px 20px; */			/* 상 우 하 좌		시계방향 */
	/* margin: 100px 50px; */						/* 상하 우좌 		상하는 바깥여백을 100px;을 주고, 우좌는 바깥여백을 50px;을 준 것이다. */
	/* margin: 50px; */								/* 상우하좌		상우하좌 모두 바깥여백을 50px;을 준 것이다. */
	margin: 0;										/* 바깥 여백을 없는 것으로 하겠다. (default 조금 공간이 있다.)*/
	
	/* == padding 은 안쪽여백 이다. == */
	/* padding: 100px 100px 50px 20px; */			/* 상 우 하 좌		시계방향 */
	/* padding: 100px 50px; */						/* 상하 우좌 		상하는 안쪽여백을 100px;을 주고, 우좌는 안쪽여백을 50px;을 준 것이다. */
	/* padding: 50px; */							/* 상우하좌		상우하좌 모두 안쪽여백을 50px;을 준 것이다. */
	padding: 0;										/* 안쪽 여백을 없는 것으로 하겠다. (default 값)*/
	
}

div#container{
	border: solid 0px navy;
	width: 80%;
	margin: 2% auto;		/* 상하는 2%; 우좌는 남은 20%에서 좌우로 1/2씩 균등하게 주겠다. 즉, 화면의 가운데로 위치하겠다는 말이다. */
	
}

div#container > div#header{
	border: solid 0px gray;
	height: 100px;
	background-color: #ccc;				/* #ccc 는 #cccccc 이다. */
	margin-top: 50px;					/* margin: 50px 0 0 0; 와 같은 것이다. */
	/* margin-right: 50px; */			/* margin: 0 50px 0 0; 와 같은 것이다. */
	/* margin-bottom:50px; */			/* margin: 0 0 50px 0; 와 같은 것이다. */
	/* margin-left:50px; */				/* margin: 0 0 0 50px; 와 같은 것이다. */
}

div#container > div.custom{
	display: inline-block;
	height: 400px;
	/* padding: 10px 10px 10px 20px; 		side 와 contents 를 같으게 줄 경우*/
	
}

div#container > div#side{
	border: solid 0px green;
	width: 30%;
	background-color: #888;
	padding: 10px 10px 10px 20px;
}

div#container > div#contents{
	border: solid 0px orange;
	/* border 1px 일 경우 width:69.43%; */
	width: 65.11%;
	background-color: #eee;
	padding: 10px 10px 10px 30px;
}

div#container > div#footer{
	border: solid 0px purple;
	height: 100px;
	background-color: #ddd;
	/* padding: 50px 0 0 500px; ============================== 방법1*/
	
}

/* 테두리는 확인용이였으니 border 를 0px 로 만들어주기 */

div#container > div#header > div{
	border: solid 0px blue;
	padding: 3% 0 0 20%;
	
}

div#container > div#header > div > span{
	display: inline-block;
	border: solid 0px darkgreen;
	width: 12%;
	height: 30px;
	background-color: #03c75a;		/* #03c75a 네이버색 */
	font-size: 14pt;
	text-align: center;
	padding-top: 0.65%;
	margin-right: 5%;
	
}

div#container > div#footer > div{
	border: solid 0px red;
	width: 28%;				/* 크기 먼저 잡고 auto 하기 */
	margin: 0 auto;
	padding-top: 30px;
	
}

정리

  • ch03_id_class -> 02_mainPage.html, mainPage.css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