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블로그 챌린지 DAY11

주재성·2023년 6월 6일
0

[유저를 이해하는 비결 - 핵심 이벤트와 제품 사용 주기]

리텐션을 개선하기 위해 우선시 되어야 하는 것으로 '핵심 이벤트와 사용주기'를 제시하면서 제품 사용 양상 파악의 중요성에 대해서 정리해 놓은 글을 공유합니다.

[요약]

핵심 이벤트:
'제품이 제공하는 가치를 경험할 수 있는 주요 액션'을 뜻하며, 이를 기준으로 리텐션을 측정해서 유저가 진정으로 활성화되었는지, 나아가 지속적으로 잔존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핵심 이벤트를 결정하기 위한 tip
1. 유저가 제품을 사용할 때마다 수행했으면 하는 액션은 무엇입니까?
2. 어떤 메트릭이 가장 중요한가요? 어떤 메트릭을 궁극적으로 끌어올리고 싶나요? 이 메트릭과 연관된 유저 활동은 무엇입니까?
3. 제품을 통해 다수의 핵심 가치를 제공하고 있으신가요? 그 가치들은 무엇이며, 각각에 대한 성공 메트릭은 무엇인가요?

제품 사용주기 계산 방법
1. 특정 기간 내 적어도 두 번 이상 핵심 이벤트를 반복적으로 수행한 유저를 파악해보세요. Amplitude는 이 기간을 60일로 설정하기를 추천합니다.
2. 1단계에서 파악된 유저들이 첫 핵심 이벤트 수행 후 얼마의 기간이 지난 후에 두 번째로 핵심 이벤트를 수행하는지 분석하세요.
3. 각 주기별로 핵심 이벤트를 재수행한 유저 비율을 누적 분포 함수로 표현해보세요.
4. Amplitude에서는 연구를 통해 60일 내 핵심 이벤트를 재수행한 유저들의 80%가 해당 이벤트를 수행하는 주기를 분포함수의 변곡점이라는 것을 발견하고, 이 지점을 제품의 일반적인 사용 주기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인사이트]

  • '핵심 이벤트'를 통해 리텐션을 측정하는 것을 통해 'active user'의 정의를 다르게 해석하는 방법을 배움.
  • '제품 사용주기'를 계산하는 방법을 통해 10일차 포스팅에서 말한 "우리 서비스의 맞는 retention 계산 방법"을 찾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리텐션에 대해서 공부를 하면 할수록, 알려진 여러 지표들을 통해 유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지표들을 잘 활용하려면 우리 제품의 특성을 잘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많이 느끼게 되었습니다.

원본 블로그 : https://blog.ab180.co/posts/retention-series-2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