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 데이터베이스 정의, 특성, 관리시스템

Yujeong·2024년 4월 7일
0

데이터베이스

목록 보기
1/14
post-thumbnail

데이터베이스 개요

1. 데이터베이스

어느 한 조직에서 다수의 응용시스템들이 공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통합, 저장운영 데이터의 집합

  • 공용 데이터(Shared data): 동시성 제어
  • 통합된 데이터(Integrated data): 중복 최소화
  • 저장된 데이터(Stored data: 보조 기억장치(디스크, RAID 등)
  • 운영 데이터(Operational data): 조직 내 사용

→ 특성: 실시간 접근, 계속적 변화, 동시 공유, 내용에 의한 참조

2. 파일 시스템

각각의 응용 프로그램은 자기의 데이터 파일을 접근하고 관리하기 위해 조작(검색, 삽입, 삭제, 갱신)을 할 수 있는 루틴을 포함한다.

  • 처리속도 빠름
  • 논리적 파일 구조와 물리적 파일 구조가 1:1로 대응 → 종속성
  • 데이터 중복성과 종속성 문제 → 데이터 파일의 공용이 거의 불가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1. DBMS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서로 관계있는 데이터들의 모임과 그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집합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하기 위한 편리하고 효율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2. 기능

  • 정의: 데이터의 형태, 구조, 데이터베이스의 저장에 관한 내용 정의
    → 시스템 카탈로그/데이터 사전(DD)에 저장됨
    → 구조(스키마): 개체, 속성, 관계
  • 조작: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검색, 갱신, 삽입, 삭제 등을 지원하는 기능
    → 튜플 조작
  • 제어: 정확성과 안전성을 유지하는 기능
    → 트랜잭션 단위 관리

3. 데이터 독립성

상위 단계의 스키마 정의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고 스키마의 정의를 수정할 수 있는 것
(하위 변경 → 상위 변경 영향x)

  •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
    기존 응용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않고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변경시킬 수 있는 것
  •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
    응용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에 영향을 주지 않고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것

응용 프로그램에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보다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을 제공하는 것이 더 어렵다.
↪︎ 논리적 구조의 변경이 응용 프로그램의 작동 방식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참고
데이타베이스 시스템

profile
공부 기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