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베이스 개요 1. 데이터베이스 어느 한 조직에서 다수의 응용시스템들이 공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통합, 저장된 운영 데이터의 집합 공용 데이터(Shared data): 동시성 제어 통합된 데이터(Integrated data): 중복 최소화 저장된 데이터(Stored

목적: 사용자에게 데이터에 관한 추상적인 관점을 제공하는 것독립성: 사용자는 데이터가 어떻게 저장되고 유지되는지에 대한 세부 사항을 알 수 없다.DBS = DB + DBMS + DL + DBA + 사용자 + DB 컴퓨터물리적 단계 - 장치추상화의 최하위 단계데이터가 실

릴레이션(relation)은 튜플(tuple)의 집합이다.각 튜플은 동일한 애트리뷰트(attribute)를 가진다.1\. 튜플의 유일성릴레이션(relation)의 튜플(tuple)은 모두 상이하다.2\. 튜플의 무순서성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 사이에는 순서가 없다.3

관계대수 관계대수(relation algebra)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어떠한(how) 연산을 수행해야 할지 사용자가 시스템에 알려주는 절차식 언어(procedural language)이다. 하나 또는 두 개의 릴레이션을 입력으로 받아 결과로서 새로운 릴레이션을

SQL 정의어는 스키마, 도메인, 테이블, 뷰, 인덱스를 정의하거나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언어이다.정의된 내용은 메타 데이터(meta data)가 되며, 시스템 카탈로그(system catalog)에 저장된다.CREATE스키마, 도메인, 테이블, 뷰, 인덱스를 정의한다.

뷰(View)는 하나 이상의 결과 집합을 나타내는 가상 테이블이다.논리적 모델의 일부로서가 아니고, 가상적인 릴레이션으로서 사용자에게 보이는 릴레이션을 의미한다. 뷰는 시스템 카탈로그(system catalog)에 저장된다.가상 릴레이션: 실제로 튜플(tuple)을 갖

내장 SQL은 프로그래밍 언어 내에 직접 SQL 쿼리를 포함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방법이다.SQL은 사용하기 쉬운 언어지만, 호스트 언어가 갖고 있는 조건문, 반복문, 입출력 등과 같은 동작,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 질의 결과를 GUI로 보내는 기능을 갖고 있지

커서(Cursor) 내장 SQL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임피던스 불일치 문제를 커서를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커서는 데이터베이스 쿼리 결과를 한 행씩 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데이터베이스 객체이다. 주로 여러 행의 결과를 처리할 때 사용되며, 데이터베이스 내의 특정

프로시저(Procedure) 일련의 명령어 집합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정의된 코드 블록 프로시저 특징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밍 언어 내에서 정의되고 호출됨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매개변수를 받아 실행될 수 있음 반환 값이 없거나, 여러 값을 반환 저장 프로시저

데이터베이스 설계 현실(현실): 실제 세계의 객체(개체)와 그 객체의 특성 및 값 정보(개념): 실제 세계의 객체와 특성을 추상화하여 개념적인 정보로 표현. 개체 타입, 속성, 값으로 구성 데이터(컴퓨터): 개념적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등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개체-관계 모델(E-R 모델) 1976년 Peter Chen이 제안 하나의 관계는 둘 이상의 개체 타입이 관련된 다원 관계, 또는 두 개체 타입 사이의 다중 관계가 될 수도 있음 최초에는 Enity, Relationship, Attribute와 같은 기본적인 개념들로

데이터베이스 연결함정 데이터베이스 연결함정(Database Connection Trap)은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사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말한다. 정규화 과정에서 당초 가지고 있는 정보를 잃어버리거나 내용이 모호해지는 현상 삼항 관계성(tentary relati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이다. 그 중에서도 ERD(개체-관계 다이어그램)를 릴레이션 스키마로 변환하는 과정은 논리적 설계의 핵심이다.이 과정은 데이터 구조를 명확히 하고, 중복을 최소화하며,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확장된 E-R 모델(Enhanced Entity-Relationship Model)은 전통적인 E-R 모델을 확장하여 복잡한 데이터 구조를 보다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개념이다.이 모델은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유연성과 표현력을 높이는 여러 특성을 제공한다.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