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강의 수강 후, 정리한 글입니다.
목차
- HTTP 상태 코드란?
- HTTP 상태 코드
1. HTTP 상태 코드란?
HTTP 상태 코드(status code)는 클라이언트가 보낸 요청의 처리 상태를 응답에서 알려주는 기능이다.
2. HTTP 상태 코드
2) 2xx: 성공(Successful)
3) 3xx: 리다이렉션(Redirection)
- 요청을 완료하려면 유저 에이전트의 추가 행동이 필요
- 웹 브라우저는 3xx 응답의 결과에 Location 헤더가 있으면, Location 위치로 자동 이동
- 종류
✔️ 영구 리다이렉션: 특정 리소스의 URI가 영구적으로 이동
예) /members
→ /users
, /event
→ /new-event
✔️ 일시 리다이렉션: 일시적인 변경
예) 주문완료 후 주문 내역 화면으로 이동(POST
로 2번 요청하면, 중복 주문될 수 있다.), PRG 패턴(Post, Redirect, Get)
✔️ 특수 리다이렉션: 결과 대신 캐시 사용
4) 4xx: 클라이언트 에러(Client Error)
- 잘못된 문법 등으로 서버가 요청을 실행할 수 없음
- 서버에서 철저히 예외처리를 해서 서버 문제가 아닌, 클라이언트의 문제라는 것을 알려줘야 함. 그렇지 않으면, 클라이언트는 500 에러를 보고 서버의 문제라고 생각할 수 있음
예) 요청 파라미터가 잘못 되었거나, API 스펙이 맞지 않을 경우
5) 5xx: 서버 에러(Server Error)
- 서버가 정상 요청을 처리하지 못함
- 서버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재시도하면 성공할 수도 있음(복구 등)
- 웬만하면 500번대 에러를 만들지 않는 게 좋음
예) 20세 이상 신청 가능할 떄, 20세 미만인 사람이 신청할 경우에는 500에러를 내면 안되고 400에러를 내야 함
🗒️ [HTTP] HTTP 상태 코드 정리 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