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와이파이는 성공했으나, 아직 모르는게 너무 많다.
일단, ip 주소를 어제 바꿨는데, 그 이후로 나의 와이파이에 기기를 연결할 때마다, ip주소 뒷 부분이 바뀌는 것 같다...?
같은 ip 주소로는 한대만 연결이 가능한 것일까?
먼저, 어제 내가 행한 짓들을 보자
내부 ip 주소와 게이트 웨이 주소를 변경했다. 뭔지도 모르고!!
ip 주소란?
- Internet Protocol address (이거는 왜인지 외우고 있었다...?)
-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을 하기위해 사용하는 특수한 번호(전화번호라고 생각하면 편할듯)
- 특수한 번호인데 왜 각 사용자에게 고유한 번호가 부여되지 않는가?
- 현재 사용되는 IPv4 방식의 ip 수는 한정되어있어서 모든 host에게 고유의 ip를 할당하지 못한다.
- 모든 기기에 ip를 부여하면 심각한 ip 부족현상이 생길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하나의 호스트에 하나의 ip만 사용하지는 않는다.
- TCP/IP 프로토콜을 보면, 고정ip가 아니라 유동 ip로 설정이 되어있다. DHCP 서버를 이용하여 전원이 켜져있는 컴퓨터에게만 ip를 할당하고, 컴퓨터를 끄면 다시 ip를 회수한다(신기..)
- 부여할 수 있는 ip개수는 256개, 전체 ip 수는 약 42억개
-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가 라우터이든, 일반 서버든, 모든 기계는 이 특수한 번호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 이 번호를 이용하여 발신자를 대신하여 메세지가 전송되고 수신자를 향하여 예정된 목적지로 전달된다
ip 주소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 ip 주소는 32비트(4바이트) 길이로 구성된 주소체계
- 형태는 OOO.OOO.OOO.OOO로 표기
- .로 구분된 octet4개가 조합됨
- 실제 ip주소는 2진수로 표기되어있지만, 사람이 이해하기 쉽게 10진수로 표기함
물리적인 주소체계
-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 이것도 모르고 맥북말하는 줄 알았다. 아는게 힘이다..
- MAC 주소는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Ethernet이라 불리는 망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됨
- MAC 주소는 인터넷이 연결되는 모든 기기에 설정되어있고, 값이 고정되어있다. 이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되는 모든 개별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다.
- 이를 통해 wifi 접속시 인증을 할 수 있단다. 이통사 무선 랜 공유기에 접속되면 스마트폰의 MAC 주소가 전송되고 이통사는 자신에게 가입된 단말기인지 확인한다. 가입된 단말기면 접속을 열어주고, 아니면 id,pw를 입력하도록 인증창을 보낸다.
- MAC은 자신이 속한 네트워크 안에서만 통신이 된다.
- 이후 네트워크를 빠져나가는 장치인 라우터를 지나게 되면 ip를 이용하여 통신함
- 하나의 ip주소에는 네트워크 id와 호스트id가 존재함
- 네트워크 id: 인터넷 상에서 모든 호스트를 관리하기 힘들어서 네트워크의 범위를 지정하여 관리하기 쉽게 만든것이다
- 호스트 id: 호스트들을 개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만든 것
- 따라서,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할때 routing으로 목적지를 알아내고 찾아가는 역할을 할때는 네트워크와 호스트id가 합쳐진 ip주소를 보게 됨
공유기는 그러면 왜 필요한데?
- ip주소가 부족해졌다고 위에서 말했다. 그래서 공유기가 중간에서 중계 역할을 하고, 이 때문에 공인, 비공인 ip주소의 개념이 생겼다.
- 집에 인터넷에 연결해야되는 기기가 여러개가 있을 것이다. 데스크탑, 랩탑, 핸드폰 등등. 근데 인터넷 1회선당 ip주소를 한개만 주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유기를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아하!)
- 공유기 자신이 정식 ip주소를 하나 부여받고 자신에게 연결되어있는 내 소중한 아이폰과 맥북에 사설 비공인ip주소를 주게 된다.
위의 그림에서 공인/비공인 ip주소가 이것이다!
공유기 및 공유기에 연결된 단말기들은 ip 앞자리 3개가 192.168.0으로 동일하다. 한가족이 성을 같이 쓰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설명 찰떡이다..!)
여기서 내가 궁금했던 질문 두개가 해결되었다!
1) ip 주소를 어제 바꿨는데, 그 이후로 나의 와이파이에 기기를 연결할 때마다, ip주소 뒷 부분이 바뀌는 것 같다...?
이거는 사실이 아니었고, 원래 기기에 연결된 비공인 ip 주소는 192.168.0.1~3 이렇게 분배되어서 연결된다는 것이다!
2) 같은 ip 주소로는 한대만 연결이 가능한 것일까?
그렇다!
그 외 알게된 사실들
- 공유기가 통신 사업자로부터 받는 공인ip주소는 공유기가 접속될 때마다 달라진단다!
- 공유기가 1달 이상 켜져있으면 자신의 주소가 고정되므로, 이를 아는 누군가가 ip주소로 해킹을 할수도 있다! **-> 어제 내가 공유기를 껐다 켰어서, 이때 ip 주소가 바뀌었고 이 때문에 내 서버가 네트워크 연결이 안되는 것일수도..?
출처: https://choseongho93.tistory.com/199
https://sensechef.com/908
https://mon.futurepia.com/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