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컴퓨터에서 네트워크 문제가 생겨서 와이파이 공유기 ip주소 만지다가 와이파이를 쓸 수 없게 되었다...내 와이파이를 되찾기 위해 시작된 여정...이 여정의 마지막에는 웃는 얼굴일 수 있을까?
DNS 서버란?인터넷에서 사용하는 pc들은 개별적인 ip주소를 가지고 있다.서버와 통신하기 위해서 이러한 ip주소를 이용하여 접속하게 된다.예. 다음 서버접속 주소는 http://211.115.115.211이나, 다음 서버를 접속하기 위해 이러한 ip주소를 매
일단 와이파이는 성공했으나, 아직 모르는게 너무 많다.일단, ip 주소를 어제 바꿨는데, 그 이후로 나의 와이파이에 기기를 연결할 때마다, ip주소 뒷 부분이 바뀌는 것 같다...?같은 ip 주소로는 한대만 연결이 가능한 것일까?먼저, 어제 내가 행한 짓들을 보자내부
라우터 라우터 하는데, 도대체 뭔지 모르겠다.처음에 리눅스 서버 명령어 입력할때, route -n 입력하는데 루트 n 으로 발음했다가 망신을 당했다.라!우!터!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패킷 스위칭: 한 포트로 패킷을 받아서 다른 포트로 전송)각기 독
iptime 사이트 눈팅을 하다보니까, 웹서버나 FTP서버 사용시의 iptime공유기 설정방법이 나와있었다.웹서버는 뭔지 느낌이 오는데 FTP서버는 뭔지 모르겠다.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컴퓨터를 연결하다가 문제가 생긴거니까, 이거를 파보면 해결방안이 있지 않을까 기대를
ddns 설정이고 나발이고 일단 공유기 설정이 안되는데 속이 터져 죽을 일이다.이제는 다 외워버린 증오의 그 번호 192.168.0.1 은 접속이 안된다.ifconfig를 입력하니 머가 이리 많은지 모르겠다어제 서버컴에서 확인했을 때는 두개밖에 없었는데 말이다.이거는
우리 집에 모셔져 있는 db용 서버를 접근하기 위해 갖은 수를 썼지만, 이놈은 절대로 호락호락하지 않았다...!오늘은 기필코 되기를 바란다...먼저, 우리집 iptime공유기는 여러 기기의 ip를 나눠서 나의 반려전자가전들에게 할당하고 있다.공유기를 사용한다는 것은 외
시리즈 이름이랑은 다르게 가고있는 것 같지만, 궁극적으로 디비 연결이 안되는 데 어떻게 서버로 이용할 수 있겠는가!진짜 구글에 나와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도 connection refused가 뜨는데, 진짜 화가나서 미치고 팔짝 뛰겠다\*- 일단 여기서는 root에 대
https://sepiros.tistory.com/7
https://bbs.archlinux.org/viewtopic.php?id=205856
공유기로 아무리 포트포워딩을 설정해봐도 외부 접속이 안되길래, 회사에 물어봤더니 네트워크랑 dmz 설정 유무를 여쭤보셨다. 네트워크 설정은 제대로 한 것 같으니, dmz 설정만 하면 될 것 같다. 참고:
centOS 8 redhet rescue 모드에서 root 비밀번호를 바꾸려고 하던 중,passwd: Authentication token manipulation error 발생루트권한을 가져오지 못해서 에러가 발생..실행은 되었지만 마지막에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