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기에 물린 서버 접근하는 법

jj·2020년 12월 16일
0

우리 집에 모셔져 있는 db용 서버를 접근하기 위해 갖은 수를 썼지만, 이놈은 절대로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오늘은 기필코 되기를 바란다...


  • 먼저, 우리집 iptime공유기는 여러 기기의 ip를 나눠서 나의 반려전자가전들에게 할당하고 있다.
  • 공유기를 사용한다는 것은 외부 공인 ip(집으로 들어온 랜선하나)에 부여된 ip를 내부의 가상 ip로 쪼개서 할당한다..
    그래서 예를 들어 공인 ip는 134.40.xxx.xxx이지만, 실제로 내 맥북이나 핸드폰의 ip주소를 보면 192.168.0.X 이런식으로 네번째 자리 수를 하나씩 나눠서 쓰고 있는 것이다.
  • 집에서 서버를 운영하는 나 같은 사람이 있고, 내 서버에 외부에서 접근하고 싶은 나의 팀원들이 있다. 그렇다면 반드시 공인ip를 통해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 서버 컴퓨터가 iptime에서 제공하는 사설ip(192.168.0.X)를 통해 사용되고 있다면 외부에서는 해당 서비스에 접근할 수 없다(젠장..삽질을 오지게 했구나...!!)

그래서 필요한게, 공유기 + pc방화벽 + DDNS 이다

  • 공유기는 대부분 초기세팅이 DHCP(ip자동할당)방식을 사용한다
    - DHCP 방식은 공유기에 연결된 여러 컴퓨터에게 임의로 ip를 자동 할당해준다.
    • 컴퓨터를 서버로 사용하려면, 공유기 내에서도!! 고정 ip를 줘야한다.
  • pc 방화벽에 예외항목을 추가한다
  • DDNS를 적용해야한다.
    - 유동 ip를 도메인으로 연결하는 서비스
    • 내 pc의 ip가 변경되어도 주기적으로 ip를 확인하여 해당 도메인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분명히 정적ip설정도 하고, 방화벽도 내리고 ddns도 설정했는데...뭐가 문제인지 아직 모르겠다.

출처: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2hyoin&logNo=220604117295&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https://opentutorials.org/course/228/6040

profile
재밌는게 재밌는거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