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03(DESTRUCTURING ASSIGNMENT)

선종현·2022년 3월 16일
0

backend

목록 보기
3/12

구조 분해 할당이란,

객체 데이터의 내용을 구조 분해해서 내가 원하는 속성들만 꺼내서
사용 할 수 있는 개념입니다.

필요한 부분만 꺼내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변수.(키값)을 사용하는 것보다 효율적 입니다.

예시

const id = {
	name: "선종현",
    age: 25,
    email: "lynx8@naver.com"
}

const = { name, age, email } = id

//만약 여기서 없는 데이터를 넣고 싶다면
const = { name, age, email, address = "korea"} = id

//그럼 id 는
const id = {
	name: "선종현",
    age: 25,
    email: "lynx8@naver.com"
    address: "korea"
}

배열데이터

배열데이터 역시 구조분해할당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객체 데이터의 경우 {}을 사용했다면 배열 데이터의 경우 꺼내올 때 []를 사용하고,
이름이 아닌 인덱스를 이용해 구조분해할당을 합니다.

예시

const fruits = ["apple", "banana", "cherry"]
const [ a, b, c ] = fruits
console.log( a, b, c ) //apple banana cherry

/*_*(만약 구조분해를 통해 banana만 꺼내오고 싶다면,
a 없이 ,만 적어서 순서를 명확하게 해 출력하면 됩니다)_*/

const [ ,b ] = fruits
console.log(b) //banana
profile
주니어 개발자가 되어보자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