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백엔드 첫 수업으로 오리엔테이션을 들었다.그 후 점심을 먹으면서 동료 분들과 함께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다.개발자 진로에 대해 고민이 많았는데 동료분들이 형님으로서 많은 조언을 해주셔서 도움이 많이 되었다. 좋은 시간이었다...
오늘은template literal에 대해써보려고 합니다.우선템플릿 리터럴은 변수를 이용해 동적으로 문자를 생성할 수 있는문법입니다.이것이 왜 필요하냐면,이전에는 아래와 같은 코드를 썼습니다.var name = "선종현"var age = "25"var intro ="이
구조 분해 할당이란객체 데이터의 내용을 구조 분해해서내가 원하는 속성들만 꺼내서 사용 할 수 있는 개념입니다.필요한 부분만 꺼내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변수.(키값)을 사용하는 것보다 효율적 입니다.알기 쉽게 코드로 보여드리면const id = { name: "선종현
둘의 차이점을 알려면 우선 sever.api가 무엇인지 부터 알아야 합니다.적절한 요청을 하였을 때 그에 맞는 응답을되돌려 주는 창구를 웹을 통에 노출한 것 입니다.이러한 server.api를 만드는 방법론 중 하나로 REST 라는것이 있는 것 입니다.모든 Resour
자바스크립트 에서 함수의 특징 중매개 변수로 전달 할 수 있다는 점을활용한 함수입니다.간단하게 다른 함수에 매개변수로 넘겨준 함수를 말합니다.매개 변수로 넘겨 받은 함수는 일단 넘겨 받고, 때가 되면나중에 호출(CALL BACK)한다는 것이 콜백 함수의개념입니다.콜백함
마이크로 소프트에서 개발한 오픈소스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자바스크립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 졌습니다. 코드 작성 단계에서 타입을 체크해 오류를 확인할 수 있고 미리 타입을 결정하기때문에 실행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하지만 코드 작성 시 매번 타입을 결정해야 하
프로젝트의 정보를 정의하고, 의존하는 패키지 정보를 명시하는 파일 입니다.크게 프로젝트 정보 , 패키지 정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name : 소문자 한 단어로 이루어져야합니다. 그리고 하이픈( - )과 언더스코어( \_ )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version : '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클래스를 사용하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테이블을 사용하기레 객체 모델과 관계형 모델 단에 불일치가 존재합니다. ORM은 객체 관의 관계를 바탕으로 SQL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불일치를 해결 해줍니다. 즉, 코드에 있는 "객체"와 DB에 있는 "데
조직적, 자동화된 방법으로 웹을 탐색 및 수집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크롤러는 여러 사이트를 돌아다니면서 필요한 데이터를 가지고 옵니다. 웹사이트 상에서 원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입니다. 스크래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필요한 정보를 찾기 위해 크롤링 작업을 수행해야
자바스크립트는 동적 분석을 하기 때문에 에러를 찾기 위해서는 직접 코드를 실행해서 확인 해봐야 합니다. 이를 도와주는 것이 정적으로 분석 해주는 eslint입니다.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아도 코딩 컨벤션에 위배되는 코드나 안티 패턴을 자동으로 검출 해줍니다.eslint
시스템의 엔티티들이 무엇이 있는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입니다. 관계형 DB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엔티티와 속성들을 테이블과 컬럼들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테이블들과 관계들을 시각화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소프트웨어 계획
spring을 사용하다 보면 DTO, DAO, VO 에 대한 용어에 대해 많이 접하게 됩니다.데이터베이스의 data에 접근하기 위한 객체입니다.계층 간 데이터 교환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객체로, 로직을 가지지 않는 순수한 데이터 객체 입니다.값 오브젝트 로서 값을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