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백엔드에 대해 공부하고 있는 선종현 이라고 합니다.
오늘 블로깅 해볼 내용은 터미널을 이용하여
깃허브와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 써보려고 합니다.
아직 터미널과 깃허브에 대해 미숙해서 깊이 있게 쓰지는 못하겠지만
제가 아는 선에서 적어 내려가 보겠습니다.
우선
git config --list 를 터미널에 입력하여
기존에 설정한 초기설정의 여부를 확인합니다
만약 없다면,
git config --global user.name "본인 id" 와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본인 email" 을 입력하니다
그 후
git config --gloval color.ui "auto" 를 입력합니다.
여기까지 완료했다면
초기설정은 끝났습니다.
이제 깃허브에 저장해 보겠습니다.
순서대로
터미널의 원하는 디렉토리에 가서 git init 입력합니다.
git add . 로 커밋할 변경사항 업데이트 합니다.
git status 로 현재 커밋할 변경사항이 제대로 유지되고있는지 확인합니다.
git commit -m "원하는 제목" 입력합니다
git log를 통해 commit history가 정상적으로 남았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git remote add origin 'repsitory url'을 입력합니다.
git push origin master
지금까지 터미널을 이용하여 깃허브에 저장하는 법을 써봤습니다.
깃허브를 난생 처음 써봐서 아직은 많이 어색하지만
잔디를 키위기 위해서라도 계속 반복해 봐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