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고]엘리스 SW 엔지니어 트랙 4기

2023.2.27~2023.6.23일 수료식을 기점으로 약 4개월간의 과정을 모두 마쳤습니다. 이에 간단하게 회고를 작성해봅니다.학부생 때 소프트웨어학을 복수전공 해 프로그래밍 언어로는 Python과 JAVA를 간단하게 다뤄봤지만, 개발자가 되기 위해 보다 깊은 학습이

2023년 6월 25일
·
0개의 댓글
·

[딥다이브] 26장 함수의 추가 기능

26. 함수의 추가 기능

2023년 4월 11일
·
0개의 댓글
·

[딥다이브] 25장 클래스

25. 클래스 클래스는 함수이며 기존 프로토타입 기반 패턴을 클래스 기반 패턴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문법적 설탕. ⇒ 새로운 객체 생성 메커니즘 클래스와 생성자 함수의 차이 클래스를 new 없이 호출하면 에러 발생. 생성자 함수는 new 없이 호추하면 일반함

2023년 4월 9일
·
0개의 댓글
·

[딥다이브] 24장 클로저

24. 클로저 클로저는 함수와 그 함수가 선언된 렉시컬 환경과의 조합이다. JS엔진은 함수를 어디에 정의했는지에 따라 상위 스코프를 결정한다. 이를 렉시컬 스코프(정적 스코프)라고 한다. 중첩 함수 클로저: 외부 함수보다 중첩 함수가 더 오래 유지되는 경우 중첩함수는

2023년 4월 9일
·
0개의 댓글
·

[딥다이브] 22장 this

22. this 자신이 속한 객체 또는 자신이 생성할 인스턴스를 가리키는 자기 참조 변수다. JS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생성되며, 코드 어디서든 참조할 수 있다. 함수를 호출하면 argumnets 객체와 this가 암묵적으로 함수 내부에 전달된다. 이를 지역 변수처럼

2023년 4월 9일
·
0개의 댓글
·

[딥다이브] 21장 빌트인 객체

21. 빌트인 객체 자바스크립트 객체의 분류 다음의 3개의 객체로 분류할 수 있다. 표준 빌트인 객체 : ECMAScript 사양에 정의된 객체.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로서 제공. 별도의 선언 없이 전역 변수처럼 언제나 참조할 수 있다. 호스트 객체

2023년 4월 9일
·
0개의 댓글
·

[딥다이브] 20장 Strict mode

20. Strict mode 잠재적인 오류를 발생시키기 어려운 개발 환경을 만들고 그 환경에서 개발하는 것이 좀 더 근본적인 해결책이다. ES5부터 strict mode가 추가됐다. ESLink 같은 린트 도구를 활용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ES6에서 도입된

2023년 4월 9일
·
0개의 댓글
·

[딥다이브] 18장 함수와 일급 객체

18. 함수와 일급 객체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객체를 일급 객체라 한다. 무명의 리터럴로 생성할 수 있다. 변수나 자료구조(객체, 배열 등)에 저장할 수 있다. 함수의 매개변수에 전달할 수 있다. 함수의 반환값으로 사용할 수 있다. JS의 함수는 위 조건을

2023년 4월 9일
·
0개의 댓글
·

[딥다이브] 16장 프로퍼티 어트리뷰트, 17장 생성자 함수에 의한 객체 생성

16. 프로퍼티 어트리뷰트 내부 슬롯과 내부 메서드 자바 스크립트 엔진의 구현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해 ECMAScript 사양에서 사용하는 의사 프로퍼티와 의사 메서드 이중 대괄호 ([[…]])로 감싼 이름들 자바스크립트 내부 로직이므로 원칙적으로는 직접적으로 접

2023년 4월 9일
·
0개의 댓글
·

[딥다이브] 14장 전역변수의 문제점, 15장 let, const와 블록 레벨 스코프

14. 전역 변수의 문제점 변수의 생명 주기 지역 변수의 생명 주기 변수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서 생성되고 소멸한다. 전역 변수의 생명 주기는 애플리케이션의 생명 주기와 같다. 하지만 함수 내부에서 선언된 지역 변수는 함수가 호출되면 생성되고 함수가 종료되면 소멸한

2023년 4월 8일
·
0개의 댓글
·

[딥다이브] 13장 스코프

23. 실행컨텍스트 프로그래밍 언어의 함수 일련의 과정을 문으로 구현하고 코드 블록으로 감싸서 하나의 실행 단위로 정의한 것.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높이고 코드의 신뢰성을 높이며, 가독성을 향상시킨다. 함수는 호출할 수 있는 객체이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생성된 함수

2023년 4월 8일
·
0개의 댓글
·

[딥다이브] 12장 함수

12. 함수 프로그래밍 언어의 함수 일련의 과정을 문으로 구현하고 코드 블록으로 감싸서 하나의 실행 단위로 정의한 것.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높이고 코드의 신뢰성을 높이며, 가독성을 향상시킨다. 함수는 호출할 수 있는 객체이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생성된 함수를 호출

2023년 4월 8일
·
0개의 댓글
·

[딥다이브] 10장 객체 리터럴, 11장 원시 값과 객체의 비교

10. 객체 리터럴 자바스크립트는 객체 기반의 프로그레밍 언어이다. 구성하는 거의 '모든 것'이 객체인 만큼 객체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객체 0개이상의 프로퍼티(상태를 나타내는 값)로 구성된 집합이다 프로퍼티는 키(key)와 값(value)으로 구성된다 변

2023년 4월 8일
·
0개의 댓글
·

[딥다이브] 8장 제어문, 9장 타입 변화와 단축 평가

8. 제어문 제어문은 조건에 따라 코드 블록을 실행하거나 반복 실행 할 때 사용한다. 블록문 0개 이상의 문을 중괄호로 묶은 것으로, 코드 블록 또는 블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언제나 문의 종료를 의미하는 자체 종결성을 갖기 때문에 블록문의 끝에는 세미콜론을 붙이지

2023년 4월 8일
·
0개의 댓글
·

[딥다이브] 6장 데이터 타입, 7장 연산자

6. 데이터 타입 자바스크립트에는 총 7개의 데이터 타입을 가진다. 원시타입인 숫자, 문자열, 불리언, undefined, boolean, null, 심벌 그리고 객체타입. 이 중 문자열에 속한 표기법인 '템플릿 리터럴'을 조금 더 살펴보고자 한다. 템플릿 리터럴 E

2023년 4월 8일
·
0개의 댓글
·

[딥다이브] 4장 변수, 5장 표현식과 문

변수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핵심 개념이다. 이번 장을 학습하며, 변수의 개념에 대해서 이해하고, 호이스팅의 개념과 발생 이유를 살펴보며, 문과 토큰 세미콜론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1. 변수 변수(variable)은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2023년 4월 8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