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 이것저것

jsha·2023년 6월 28일
0

✅ 1. flex 0 1 auto

flex 속성은 세 개의 값으로 구성된다. 순서대로 flex-grow, flex-shrink, flex-basis를 나타내며, 각각의 값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flex-grow: 박스가 남은 공간을 얼마나 확장할지를 결정한다. '0'을 설정하면 박스는 확장되지 않는다.

flex-shrink: 박스가 컨테이너보다 작은 공간에 들어가야 할 때 얼마나 축소될지를 결정한다. '1'을 설정하면 박스는 축소될 수 있다.

flex-basis: 박스의 초기 크기를 결정한다. 'auto'를 설정하면 박스의 크기는 내용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된다.

따라서 flex 0 1 auto는 박스가 확장될 필요가 없으며, 축소되어야 할 때는 축소 가능하고 초기 크기는 내용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 2. Redux Toolkit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리덕스를 사용하려고 하는데, 리덕스 툴킷을 사용하면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하여 무엇인지 찾아보았다.
리덕스 툴킷은 리덕스의 세 가지 일반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 Redux 스토어 구성이 너무 복잡하다.
  • Redux에서 유용한 작업을 수행하려면 많은 패키지를 추가해야 한다.
  • Redux에는 너무 많은 상용구 코드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리덕스 툴킷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한다.
코드가 더 개선되고 유지 관리가 쉬워진다고 하는데...
아직 이론적인 부분만 봐서는 잘 모르겠어서 프로젝트 적용 후 다시 정리해봐야겠다.


✅ 3. 옵셔널 체이닝

옵셔널 체이닝(optional chaining) ?.을 사용하면 프로퍼티가 없는 중첩 객체를 에러 없이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다.

토스의 기출문제를 보고 이 개념 정리가 필요하다고 느꼈다.
토스 기출문제

?.?.'앞’의 평가 대상이 undefined나 null이면 평가를 멈추고 undefined를 반환한다.
옵셔널 체이닝 참고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