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덱스란 추가적인 쓰기 작업과 저장 공간을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검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자료구조이다.
예를 들어 책에서 원하는 내용을 찾을 때, 책의 모든 페이지를 찾아보는 것은 오랜 시간이 걸린다. 그래서 책에 색인을 추가하는데, 데이터베이스의 index는 책의 색인과 같은 역할을 한다.
데이터베이스에서도 테이블의 모든 데이터를 검색하면(Full-Scan)하면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데이터와 데이터의 위치를 포함한 자료구조를 생성하여 빠르게 조회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인덱스를 활용하면, 데이터를 조회하는 SELECT의 성능 뿐만 아니라 UPDATE나 DELETE의 성능이 함께 향상된다. UPDATE나 DELETE를 수행하려면 해당 대상을 먼저 조회해야만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indes를 사용하지 않은 칼럼을 조회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전체를 탐색하는 Full Scan
을 수행해야 한다. Full Scan은 전체를 비교하여 탐색하기 때문에 처리 속도가 느려진다.
DBMS는 index를 항상 최신의 정렬된 상태로 유지해야 원하는 값을 빠르게 탐색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INSERT, UPDATE, DELETE가 수행될 때 각각 다음과 같은 연산을 추가적으로 해주어야 하며 그에 따른 오버헤드가 발생하게 된다.
장점
단점
만약 INSERT, DELETE, UPDATE가 빈번한 속성에 인덱스를 걸게 되면 인덱스의 크기가 비대해져서 성능이 오히려 저하되는 역효과
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한 이유 중 하나는 DELETE와 UPDATE 연산 때문이다. 위의 내용처럼, UPDATE와 DELETE는 기존의 인덱스를 삭제하지 않고 '사용하지 않음' 처리를 해준다고 했다. 만약 어떤 테이블에 UPDATE와 DELETE가 빈번하게 발생한다면 실제 데이터는 10만 건이지만 인덱스는 100만 건이 넘어가게 되며, SQL문 처리 시 비대해진 인덱스에 의해 오히려 성능이 떨어지게 될 것이다.
인덱스를 사용하면 좋은 경우
인덱스를 사용하는 것 만큼이나 생성된 인덱스를 관리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인덱스는 바로 제거를 해주어야 한다.
인덱스를 구현하기 위해 여러가지 자료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가장 대표적인 자료구조로는 해시 테이블과 B+Tree가 있다.
해시 테이블(Hash Table)
해시 테이블은 (Key, Value)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구조 중 하나로 빠른 데이터 검색이 필요할 때 유용
하다. 해시 테이블은 Key 값을 사용한 해시 값을 통해 고유한 index를 생성하여 그 index에 저장된 값을 꺼내오는 구조이다.
해시 테이블 기반의 DB 인덱스는 (데이터 = 컬럼의 값(해시값), 데이터 위치)를 (Key, Value)로 사용하여 컬럼의 값으로 생성된 해시를 통해 인덱스를 구현하였다. 해시 테이블의 시간복잡도는 O(1)이며 매우 빠른 검색을 지원한다.
하지만 DB 인덱스에서 해시 테이블이 사용되는 경우는 제한적인데, 그러한 이유는 해시가 등호(=) 연산에만 특화되었기 때문이다. 해시 함수는 값이 1이라도 달라지면 완전히 다른 해시 값을 생성하는데, 이러한 특성에 의해 부등호 연산(>, <)이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위해서는 해시테이블이 적합하지 않다.
B+Tree
B+Tree는 DB의 인덱스를 위해 자식 노드가 2개 이상인 B-Tree를 개선시킨 구조이다.
B+Tree는 모든 노드에 데이터(Value)를 저장하는 BTree와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 컬럼은 부등호를 이용한 순차 검색 연산이 자주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BTree의 리프노드들을 LinkedList로 연결하여 순차검색을 용이하게 하는 등 BTree를 인덱스에 맞게 최적화하였다.
(물론 리프노드까지 가지 않아도 탐색할 수 있는 BTree에 비해 무조건 리프노드까지 가야한다는 단점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비록 B+Tree는 O(log_2n)의 시간복잡도를 갖지만 해시테이블보다 인덱싱에 더욱 적합한 자료구조가 되었다.
아래의 그림은 InnoDB에서 사용된 B+Tree의 구조이다.
InnoDB에서의 B+Tree는 일반적인 구조보다 더욱 복잡하게 구현이 되었다. InnoDB에서는 같은 레벨의 노드들끼리는 Linked List가 아닌 Doubled Linked List로 연결되었으며, 자식 노드와는 Single Linked List로 연결되어 있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