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LID 원칙, 의존성 역전 원칙, 의존성 주입, Hexagonal Architecture, DDD
아래는 기본적인 트랜잭션의 개념이지만gpt가 자꾸 헛소리로 우겨서 내가 직접 찾아 정리함.https://www.mongodb.com/ko-kr/docs/manual/core/transactions/https://www.mongodb.com/docs/m
맨날 헷갈려서 이참에 정리해둠CORS는 브라우저 보안 정책일 뿐, 서버 보안 정책이 아님.curl이나 Postman 같은 비브라우저 환경에서는 애초에 CORS 보호를 기대하지 않아.(걔네는 아무 요청이나 다 할 수 있어야 하니까.)즉, CORS는 사용자를 보호하는 거지
NestJS에서 \*\*모듈(Module)\*\*은 앱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이자 코드의 구조를 분리하고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핵심 개념이야.Nest는 모듈 기반 아키텍처를 강제함으로써 의존성 주입(DI), 내부 경계 명확화, 기능 캡슐화를 쉽게 만들어줘.NestJS에
아주 좋은 질문이야.지금 상황을 정리해보면,MongoDB에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음프론트에서 자신의 MongoDB \_id를 직접 전달해서 사용자 정보를 조회 중문제점:만약 다른 사용자의 id(= ObjectId)를 탈취하면,그대로 요청하면 남의 정보도 볼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