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해99, 4주차 나무 자르기

Jang Seok Woo·2022년 2월 6일
0

알고리즘

목록 보기
53/74

Today I learned
2022/02/04

회고록


2/04

항해 99, 알고리즘 3주차

교재 : 파이썬 알고리즘 인터뷰 / 이것이 코딩테스트다(동빈좌)

이분탐색

1. 이론

이분탐색

참이슬 병뚜껑 아래에 1-50까지 적힌 숫자 맞힐때 쓰던 방법

5번 내로 맞추면 출제자가 마시는 벌칙을 수행시 이분탐색을 하면 출제자가 상당히 불리해진다.

25 -> 12 -> 6 -> 3 -> 50%확률로 출제자 벌칙

아래 이미지를 보고 이분탐색의 컨셉을 이해하자.

링크텍스트

2. 문제

문제

상근이는 나무 M미터가 필요하다. 근처에 나무를 구입할 곳이 모두 망해버렸기 때문에, 정부에 벌목 허가를 요청했다. 정부는 상근이네 집 근처의 나무 한 줄에 대한 벌목 허가를 내주었고, 상근이는 새로 구입한 목재절단기를 이용해서 나무를 구할것이다.

목재절단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상근이는 절단기에 높이 H를 지정해야 한다. 높이를 지정하면 톱날이 땅으로부터 H미터 위로 올라간다. 그 다음, 한 줄에 연속해있는 나무를 모두 절단해버린다. 따라서, 높이가 H보다 큰 나무는 H 위의 부분이 잘릴 것이고, 낮은 나무는 잘리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한 줄에 연속해있는 나무의 높이가 20, 15, 10, 17이라고 하자. 상근이가 높이를 15로 지정했다면, 나무를 자른 뒤의 높이는 15, 15, 10, 15가 될 것이고, 상근이는 길이가 5인 나무와 2인 나무를 들고 집에 갈 것이다. (총 7미터를 집에 들고 간다)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는 양의 정수 또는 0이다.

상근이는 환경에 매우 관심이 많기 때문에, 나무를 필요한 만큼만 집으로 가져가려고 한다. 이때, 적어도 M미터의 나무를 집에 가져가기 위해서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의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나무의 수 N과 상근이가 집으로 가져가려고 하는 나무의 길이 M이 주어진다. (1 ≤ N ≤ 1,000,000, 1 ≤ M ≤ 2,000,000,000)

둘째 줄에는 나무의 높이가 주어진다. 나무의 높이의 합은 항상 M보다 크거나 같기 때문에, 상근이는 집에 필요한 나무를 항상 가져갈 수 있다. 높이는 1,000,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 또는 0이다.

출력

적어도 M미터의 나무를 집에 가져가기 위해서 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높이의 최댓값을 출력한다.

Example 1:

입력

4 7
20 15 10 17

출력

15

https://www.acmicpc.net/problem/2805

3. MySol

  • binary search
def solution(n, m, lst):

    result = 0

    def tot_tree_get(mid):
        temp = 0
        for i in lst:
            if i > mid:
                temp += (i - mid)

        return temp


    def bin_search():

        left = 0
        right = max(lst)

        while left <= right:
            nonlocal result

            mid = (left + right)//2

            total = tot_tree_get(mid)

            if total > m:
                left = mid+1
                result = mid
            elif total < m:
                right = mid-1
            else:
                result = mid
                break
        return mid

    bin_search()


    return result

if __name__ == '__main__':

    n, m = map(int, input().split())

    lst = list(map(int, input().split()))

    result = solution(n, m, lst)

    print(f'{result}')

4. 배운 점

  • 백준 특유의 input 처리
  • 예외처리
  • total 나무를 얻는 함수를 따로 정의하여 사용

5. 총평

이분탐색 익히기

profile
https://github.com/jsw4215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