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SCA] 2025 참여형 : 합격 후기

Judy·2025년 7월 10일
0

OSSCA '체험형' 프로그램 멘티로 선발되어 지원서 작성 경험을 공유합니다.

최근 OSSCA 체험형 1차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쳤고,
[OSSCA] 2025 체험형-1차 : 합격 후기
너무 좋은 경험이었기에 체험형 다음 단계인 참여형 프로그램에 지원했다!

홈페이지 : https://www.oss.kr/contribution_academy

단계별 오픈소스 컨트리뷰션 아카데미 프로그램

  • (입문형 과정) 대학(원)생 대상 공개SW 소개 및 공개SW 프로젝트 소개 등 공개SW 인식 확산을 위한 단기 특강 프로그램
  • (체험형 과정) 공개SW 개발 참여 및 기여를 위한 협업 도구 교육 및 주요 분야별 프로젝트 실습 및 체험 프로그램
  • (참여형 과정) 멘토·멘티가 한팀을 이루어 산업에서 활용 가능한 오픈소스 프로젝트 기능 개선 및 다양한 기여를 직접 경험을 통한 역량 강화 프로그램

이번 과정은 '참여형' 과정으로, 말 그대로 오픈소스에 실제로 기여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만큼 체험형에 비해 참여자들의 기술 수준도 높고, 2배 더 긴 기간동안 진행된다.

이번에는 내 본업인 AI Researcher 로 돌아가고자 'Hugging Face OSS' 프로그램에 지원했고, 열심히 지원서를 쓴 덕분인지 합격했다! 🎉

Hugging Face OSS?

내가 참여하는 Hugging Face OSS 프로그램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1. Hugging Face 라이브러리에 코드 기여하기
    Hugging Face의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에 직접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기여 대상은 transformers, smolagents, diffusers 등 핵심 라이브러리이며, 기존 이슈 해결, 문서 개선, 기능 추가 등을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이를 위해 라이브러리 구조 분석과 로컬 개발 환경을 설정하며, 한국어 관련 모델이나 기능에서의 개선점을 중심으로 기여 방향을 구체화합니다.

  2. Hugging Face 공식 리소스에 기여하기
    Hugging Face에서는 Model, Datasets, Space, Notebooks with examples과 같은 주제로 ML개발자들이 머신러닝 생태계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공간이 존재합니다. 관심 분야를 논의하고 주제를 선정하여 Hugging Face 생태계에 적극적으로 기여합니다.

  3. Hugging Face 기술문서 한글화
    Hugging Face의 공식 문서를 한글화하여 국내 사용자들이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Hugging Face에서 제공하는 기능 중 관심있는 분야의 문서를 한글로 번역합니다


지원서 문항

지원서 문항은 크게 1지망, 2지망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각각의 지망 프로젝트 모두 대답해야 할 질문은 다음 3가지로 동일하다.

  • 자기소개
    • ex. 관심 분야, 학력, 전공, 프로젝트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 등
  • 지원동기
  • 프로젝트 개발 경험 (있으면 작성, 없으면 PASS)

나는 이 프로그램에 너무너무 참여하고 싶었기 때문에 정말 지원서를 열심히, 내 경험과 경력을 정말 영혼까지 끌어모아서 작성했다.
특히 이번 Hugging Face OSS 프로그램의 멘토님들이 대부분 자연어처리를 하셔서 같은 자연어처리 연구자인 나로서는 정말 놓치고 싶지 않은 기회였다.

자기소개

다음 4가지 소주제를 잡고, 각각의 소주제에 대해 나의 경험과 경력을 근거로 들어 자기소개를 작성했다.
단순히 내가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싶다', '할 수 있다' 라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명확하게 경험/경력을 나열해 주장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려 노력했다.

  • 기계번역부터 챗봇까지, NLP연구 및 개발 경험
    • 기계번역 논문 발표, 기계번역 스타트업 근무 경력 제시
    • 음성인식, 챗봇 등 추가 경력 제시
    • 최근 참여한 스터디 중 LLM(SFT포함), RAG 를 사용한 팀 프로젝트 경험 제시
  • 오픈소스 기여 경험과 협업 능력
    • 최근 OSSCA 체험형 프로그램을 수료했고, 실제로 오픈소스에 기여한 경험 제시
    • 3년간 9개의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부트캠프에서 각종 리더를 맡아 협업한 경험 제시
  • 해외 ICT 봉사 경험으로 검증된 글로벌 소통 역량
    • 3년 동안 매 해 여름마다 ICT 해외봉사단에 참여해 영어로 강의한 경험 제시
      • 체험형 프로그램 과정 중 오픈소스의 메인테이너와 영어로 소통했는데, 이번에도 영어 소통이 필요할 것 같아서 특별히 기술적으로 영어 소통이 가능한 점을 어필
  • 끊임없는 학습과 기술 공유에 대한 열정
    • 글또 활동을 통해 총 30편의 기술 포스팅을 작성하고, 세미나에서 발표한 경험 제시
      • 스터디란 결국 매주 자신이 공부해 온 것을 문서로 정리해서 스터디원들에게 공유하는 활동.
      • 이번 프로그램에는 특별히 '기술문서 한글화' 가 있었기 때문에 나의 문서화 역량을 어필해야겠다고 판단함
      • 그동안의 스터디 참여 경험을 복기할 때, 모두 시작할 때에는 열정적이지만 일부 스터디는 점차 출석률이 저조해지는 경우가 있었고, 멘토님들도 분명 이 점을 고려하셨을 것이라 생각해 나는 꾸준히 학습하고 학습 내용을 공유한다는 점을 어필함.

✅ 지원동기 (이 포스팅의 핵심!)

'나 다시 NLP 연구자 할래요'

지원동기를 한 줄로 요약하면 위와 같고,
가급적 진솔하게 내가 어떠한 갈증이 있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해 지원하는 것임을 '긍정적으로' 서술했고,
또 나의 관련 경험을 소개하는 동시에 경험 과정에서 어떤 어려움이나 아쉬움이 있었는지 소개하고, 프로젝트를 통해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는 능동적인 뉘앙스로 작성했다.

  • AI 연구자로서의 전문성 심화
    • 최근 다수의 AI 서비스를 개발했으나 이는 나의 본업인 'AI 연구자' 와는 거리가 있음.
    • 직접 모델 구조를 분석하고 다양한 리소스에 기여하면 연구자로서의 시야를 넓힐 수 있을 것 같다!
  • 한국어 NLP 생태계에 기여하기
    • 현업에서 서비스를 개발할 때, 한국어 리소스가 적어서 어려움을 겪은 경험 제시
    • 프로그램 필수(기본) 퀘스트인 '기술문서 한글화' 에 참여하고 싶다는 점을 어필
      • 나의 꿈인 '언어의 장벽을 넘어서기' 를 '기술문서 한글화' 와 연관지어서 나의 꿈(가치관) = 프로그램 목표임을 어필
    • 글또와 기술 블로그 운영을 통해 축적한 문서화 경험 + ICT 해외봉사단 활동으로 영어로 AI 교육자료를 만들고 강의한 경험을 강점으로 제시

프로젝트 개발 경험

회사에서 수행한 주요 프로젝트와 지금까지 참여한 사이드 프로젝트 중 가치 있는 프로젝트 4~5개를 프로젝트명만 적어 냈다.
이는 프로젝트 개발 경험 문항은 글자 수 제한이 200자 정도로 상대적으로 적게 걸려 있었기 때문이다.
대신 대외활동 경력을 따로 스프레드시트에 리스트업해두고 있었는데, 이 스프레드시트 URL 을 URL 단축 서비스를 이용해 글자 수를 줄인 뒤 덧붙여서 최종 제출했다.


🍯 Tip: 스터디 지원서 작성 요령

최근 1년 동안 지원한 모든 스터디/프로젝트에 합격하고 있는데, 나름대로의 지원서 작성 요령은 다음과 같다.

  • 내 경험/경력을 살려서 호소하고 주장에 대한 근거로 제시한다
    • 단순히 '잘 모르지만 열심히 하겠습니다' 라고 절대 쓰지 않는다
  • 나의 현재 상황을 설명하고, 이러한 상황이라 이 스터디가 나에게 꼭 필요하다는 점을 어필
    • 목표를 분명하게 어필할 때도 있음 (스터디에서 잘 배워서 실무에 도입해 성과를 내겠다/이직에 성공하겠다)
  • 내가 팀에 할 수 있는 기여를 어필한다
    • 정보 공유를 잘 한다던지 정리를 잘 한다던지 아니면 미리 조금 공부를 한 주제여서 다른 팀원의 초반 적응을 도울 수 있다던지 등등
  • 나는 스터디 중 탈주하지 않을 지원자라는 확신을 심어 준다
    • 많은 스터디 리더들이 한 번쯤은 자신이 리딩하는 스터디 참여율이 저조해지는 경험을 해 보셨을 것
    • 그렇기 때문에 끝까지 포기하지 않을 사람을 선호하는 리더분들이 계심
    • 실제로 나는 최근 3년간 9개의 스터디에 참여해 모두 완주했다는 경험을 근거로 제시해 리더분들의 우려를 덜어 드리려고 노력함
  • 이 모든 내용을 최대한 진솔하게, 긍정적이고 능동적으로 보이도록 작성한다

마지막 한마디

자 이제 오랜만에 다시 본업인 자연어처리 연구자로 돌아가 보자.. 🙏

profile
NLP Researcher, AI Engine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