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으로 api 간단한거 하나 짜면서 트러블 슈팅도 생각보다 많이 하고 시간도 생각보다 꽤 걸리는 것 같다. 이전에 프로젝트들 하면서 날림으로 해왔던 것과는 달리 세부사항이나 요구사항을 지키면서 꼼꼼하게 짜다보니 그런 것 같다.
이번 주 TWIL을 작성하기 전에 지난 주 작성한 것을 읽고 왔는데 살짝 당황스럽다. 복붙해도 될 정도로 내용의 차이가 없을 것 같아서..ㅎㅎ저번주에 시작되었던 api 작성을 거의 마무리하였다. 저번 주와 다른 점이 있다면 test code를 거의 처음 작성해보았다.
이번 주는 다음 주부터 들어갈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코드 파악, 조사 및 리뷰를 받는 한 주였다. 다음 주 부터 작업을 들어가게 된다. 설렘 반, 걱정 조금..ㅎㅎ이번 주는 하던 레디스, 파이썬 공부를 조금씩 하고 클린 코드를 읽기 시작했다.
회사에서 입사하며 클린 코드, 클린 코더, 클린아키텍처 등의 책을 선물해주시면서 책을 읽어보라고 권하셨다. 이에 클린 코드 책을 보게 되었다.
이번 주는 data intensive application 9장 동시성 처리에 관한 부분을 드디어 1회독을 끝냈다. 다음 주 금요일날 9장으로 스터디가 있긴한데 난 앞부분을 안읽고 8장부터 참가하다보니 읽다가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좀 있어서 앞부분을 시간내서 따라가야한다. 다음 주는 9장을 빠르게 리뷰하면서 앞 쪽에 안읽은 부분을 채워나가야하지 싶다. u...
이번 주에 출근을 하게 되었다. 온보딩 프로세스를 진행하면서 간단한 Jira 카드를 두 개 배정받고 PR 해 보았다.이번 주 매일 칼퇴를 했는데 생각보다 공부 시간이 확보가 안된다. 시
TIL - Today I Learned 라는 것을 처음 알게 되었을 때 나의 반응은 "뜨악" 이었다.개발을 공부하기 전에도 여러 번 시도했으나 실패해보았고 어렸을 적 부터 일기 쓰는걸 정말 힘들어했는데TIL이 개발자들 사이에서 나름 유명하고 많이들 하시는 것 같은데..
Data-intensive(데이터 집약적) 어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 중 신뢰성, 확장성, 유지보수성 중 저번 글에서 다룬 신뢰성에 이어서 Scalability(신뢰성), Maintainability(유지보수성) 을 다뤄보겠습니다.
Martin Kleppmann 의 저서 Designing-Data-Intensive-Applications 를 읽고 정리를 해놓고자 합니다.
이분탐색에서 조금은 더 이분탐색의 성질을 활용해야할 문제
문제에서 시간복잡도 O(n)으로 풀라해서 풀었지 아니었으면 바로 정렬들어갔을 것 같다. nlogn 직행..최대 데이터의 길이도 10^5 까지 나와서 재귀함수로 구현하면 스택오버플로우 날테고..저걸 while문으로 바꾸자니 이렇게 푸는게 맞나, 다른 접근방법이 있나 싶어
물을 담는다고는 하지만 가장 큰 정사각형을 만드는 문제다.첫 시도53/60 ...배열을 순회하면서 이전에 나온 가장 긴 것을 기록해두고 이전 기록해 둔 것보다 더 큰게 나오면 담아준다.가장 높은 값들만 담아놓고 해당 높은 값들로만 비교해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정사각
자바스크립트 객체란?객체는 프로퍼티로 이루어진 집합이다.프로퍼티는 key, value로 구성된다.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값은 프로퍼티 값이 될 수 있다. 함수도 프로퍼티 값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