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API는 웹이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기능을 테스트하기 좋은 방법이다.서비스들이 제대로 안착되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앱을 다시 빌드하지 않아도 된다.오늘날 개발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Agile 방법론을 사용
간혹 spring-boot-maven-plugin에 밑줄이 그여진 채로 에러 표시가 되는 경우가 있다.이는 어떤 maven 버전을 실행해야할지 애매한 경우 발생한다.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maven 버전을 선택하여 명시해주고, pom.xml을 업데이트 해주면 간단히 해
MSA 개념 설명에 이어 MSA와 SOP의 차이점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봅니다. 각각 가지는 특징을 알아보고 MSA를 채택할 시 주의하여야 할 점에 대해 서술하였습니다.
Microservices Architecture (MSA) - 1 에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MSA 를 설계하고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와 적용가능 한 디자인 패턴을 알아봅니다.
MSA는 기능별로 서비스를 따로 만들어 요청에 대한 Latency를 줄이기 위한 아키텍처입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MSA가 무엇인지 알아본 다음, 장단점을 비교합니다.
코드 리뷰와 몹 프로그래밍을 비교합니다. 코드리뷰의 단점은 피드백 시간이 오래걸리고, 코드 구조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인데요. 함께 코드를 작성하며 코드 리뷰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이 Mob Programming 입니다.
Docker의 개념과 간단히 Docker 이미지를 만드는 실습을 진행해보았습니다. 복잡한 설정을 다루지 않고, 간단히 도커를 이해하는 흐름으로 포스팅을 작성하였습니다.
터미널, 쉘, 커널의 차이에 대해 학습하고 환경 변수에 대해 알아봅니다. 환경 변수란 '어떤 운영환경에 영향을 끼치는 변수' 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포스팅을 확인해주세요!
자바 쓰레드를 구현하는 2 가지 방법 (Runnable과 Thread)에 대해 서술합니다. 그리고 쓰레드의 개수를 몇 개로 설정하면 좋을 것인지에 대해 고찰해보았습니다.
Java Crwaler인 Java 라이브러리 Jsoup에 대해 살펴봅니다. Crawler4j 라이브러리도 있지만 2018년 이후 업데이트가 없어 현재까지 업데이트를 지원하고 있는 Jsoup을 사용하였습니다.
Fly.io machines은 FaaS로서 VM위 OS를 API 요청만으로 쉽게 설치, 부팅할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 입니다. 어떤 서비스인지 이해를 돕고, 원리에 대해 정리한 포스팅을 번역하였습니다.
카프카를 본격적으로 알아보기에 앞서, 역사와 빅데이터 플랫폼인 카프카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에 관해 알아봅니다.
최소신장트리를 찾는 알고리즘 중 하나인, 크루스칼에 대해 설명합니다. 나아가 관련문제 백준 1774(우주신과의 교감)에 크루스칼을 적용하였는지에 대해 찬찬히 살펴보겠습니다.
Broker와 Replication, ZooKeeper, Producer와 Consumer 에 대해 알아봅니다. 코딩이 필요한 부분이 있지만, 대략적으로 각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 서술합니다.
Kafka의 용어를 설명하며 시리즈를 이어갑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Kafka의 서버와 클라이언트, 토픽에 대해 알아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