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란?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이다.
웹 브라우저로부터 들어온 Request(요청)을 받아 Response(응답)을 보낸다.
주로 리눅스(Linux)나서버용 윈도우 운영체제(OS)를 사용하며, CLI (Command Line Interface) 환경에서 운영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안전하게 응답만 하면 되기 때문에 GUI 환경이 필요 없을 뿐더러 컴퓨터는 GUI를 운영하는데에도 리소스가 소모되기 때문이다.
프로토콜의 예시로는 HTTP, HTTPS, FTP, SSH, SMTP 등이 있다.
그 중 HTTP 프로토콜은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이다.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으로,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요청하고, 서버는 요청을 처리하여 응답한다.
- 본인의 컴퓨터로 직접 서버를 구축
- 일정 요금을 내고 외부 서버를 임대
(2-1. 서버 호스팅 : 서버 한 대를 통째로 임대
2-2. 웹 호스팅 : 서버 한 대의 일정 저장공간만을 임대)
클라우드는 광대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가상화된 서버와 서버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IT 환경이다.
클라우드 유형
- 퍼블릭 클라우드
• 클라우드 서버 or 호스팅 공급자가 소유하고 관리
• 사용한 만큼만 서비스 요금을 지불
- 프라이빗 클라우드
• 기업내부에서 센터를 만듦
• 조직이 서비스를 운영하며, 조직 외부 사용자 접근 불가능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퍼블릭/프라이빗 클라우드를 결합해 애플리케이션이 가장 적절한 위치에서 실행되도록 함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면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자원을 임대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AWS, Microsoft Azure, GCP, NCP등을 이용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는 가상 머신(Virtual Machine)으로 서버를 운영하는 방식이다.
물리적인 컴퓨터의 한계를 넘어 무한대의 저장공간을 이용할 수 있으며, 내가 서버를 관리할 수 있는 모든 권한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P(Internet Protocol)
: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 규약
IP 주소
: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각 장치들의 고유 번호
IPv4
: 총 32비트이고, 8비트씩 끊어 0~255 사이의 10진수 숫자로 나타냄.ex) 172.16.254.1
IPv6
: 총 128비트로, 4자리의 16진수 숫자 8개로 표기한다. (사용량 낮음)ex) FFED:0:0:0:0:BA98:3210:4562
- 공인 IP (Public IP)
• 외부에 공개되어 있는 IP
• 서버 구축을 사용하고 우리가 서버에서 사용하는 것도 공인 IP
•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누구나 검색, 접근 가능
• 전세계에서 어떤 주소도 중복되지 않음
- 사설 IP (Private IP)
• 로컬 IP, 가상 IP 라고 불리며, 특정 네트워크 안에서만 사용되는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는 IP
• 큰 단위로 공인 IP 를 할당하고 그 안에 있는 PC나 가정/회사 내에서만 통신하는 IP 할당
• IPv4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등장했던 방안 중 하나
• 사내 LAN 이나 가정 LAN에서 사용되는 IP 주소
- 유동 IP
• 변하는 IP ➡ IP 주소를 임시로 발급
• 기기에 고정적으로 IP를 부여하지 않고 IP 갱신주기가 되었을 때 기기를 껐다 켰을 때 남아 있는 IP를 골라 기기에 IP를 할당해주는 것
- 고정 IP
• 변하지 않고 고정적으로 부여된 IP
• 사용자가 직접 IP 주소를 입력해 주소를 설정하는 방식
• IP를 한 번 부여 받으면 반납 전까지 해당 IP를 할당
도메인
: 웹 브라우저로 사이트에 진입할 때 IP주소 대신 사용하는 주소ex) www.naver.com (네이버 도메인 주소)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 웹에서 리소스가 어디있는지 알려주는 주소. 도메인을 포함한 풀주소임
DNS (Domain Name System)
: IP 주소와 도메인 주소가 같다고 지정해서, 사용자들이 도메인 주소를 검색했을 때 해당되는 IP 주소로 바꿔서 연결 되도록 함
브라우저에서 URL 입력
➡ DNS가 도메인명에 연결된 IP 주소 확인하여 브라우저에게 전달
➡ 브라우저는 해당 IP 주소로 서버에 접속(요청)
➡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