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 7 Layer (개방 시스템 상호교류 참조 모델 7계층)을 말합니다.
제조업체와 모델에 관계없이 망을 구성하는 모든 장치를 통합하여 같은 통신 자원과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게 설계된 시스템.
즉, 모든 시스템이 상호 연결에 있어 문제가 없도록 표준을 정한 것을 말합니다.
7계층 중 어떤 구간에서 오류가 나왔을 때, 해당 계층만 해결하여 나머지 계층은 건드리지 않기 위해서 7개의 계층으로 구분하는 이유입니다.
OSI 1계층은 물리 계층이며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바꿔주는 계층.
특징
송수신 단위 : 비트(bit)
장비 : 통신 케이블, 리피터, 허브, 모뎀
프로토콜 : EIA RS-232C, V.24, X.21, V35 등
OSI 2계층은 데이터 링크 계층이며 데이터의 물리적인 신호를 전송, 에러검출, 흐름 제어를 담당하는 계층
기능
송수신 단위 : 프레임
장비 : 브릿지, L2 스위치
프로토콜 : HDLC, PPP, FDDI, PDH/SDH, ATM, Frame Relay, 이더넷, 무선LAN 등
OSI 3계층은 네트워크 계층이며 패킷이 목적지까지 가장 빠른 길로 전송하기 위한 계층
기능
송수신 단위 : 패킷
장비 : 라우터, L3 스위치
프로토콜 : IP, X.25, ICMP, IGMP 등
OSI 4계층은 전송 계층이며 최종 수신 프로세스로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
기능
송수신 단위 : 세그먼트
장비 : L4 스위치
프로토콜 : TCP, UDP
OSI 5계층은 세션 계층이며 컴퓨터끼리 통신을 하기 위한 세션을 만드는 계층
기능
송수신 단위 : 메세지
프로토콜 : SSH, TLS 등
OSI 6계층은 표현 계층이며 데이터의 형식 즉 포멧을 정의하는 계층
기능
송수신 단위 : 메세지
프로토콜 : ASCII, MPEG, JPEG, MIDI, EBCDIC, SSL 등
OSI 7계층은 응용 계층이며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응용프로그램들이 포함된 계층
기능
송수신 단위 : 메세지
프로토콜 : HTTP, FTP, SMTP, POP3, DNS 등
L 뒤에 붙는 숫자는 OSI 7계층에서 계층을 뜻한다.
L1이라면 1계층인 물리 계층에서만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치를 의미한다.
L1, L2, L3, L4, L7이 존재한다.
흔히 허브, 더미 허브라고 불린다.
물리 계층에서 동작한다.
가장 원시적인 장비로 속도가 느리고 패킷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현재는 주로 사용하지 않는 장비이다.
허브와 스위치의 대표적인 차이는 속도와 Collision domain이다.
같은 시간에 여러 패킷이 동시에 들어온 경우 허브는 서로 충돌하여 패킷 손실이 발생한다.
하지만 스위치는 충돌이 발생하지 않아 손실률이 낮다.
허브는 1/N의 속도이지만, 스위치는 N개에 거의 동일한 속도를 제공한다.
허브에 연결된 모든 네트워크상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이다.
허브에 들어온 데이터를 연결된 모든 포트에 동일하게 뿌려준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PC와 링크 수가 많으면 많을 수록 송수신 속도는 급격하게 하락한다.
스위칭 허브, 스위치, L2라고 불린다.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스위치이다.
가장 기본적인 스위치이며 저렴하다.
MAC 주소를 기반으로 스위칭하며 특정 포트에 채널(bandwidth)을 할당하여 전이중방식을 사용한다.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통신한다. 이로인해 성능 저하가 발생하기도 한다.
Learning : 목적지 주소를 MAC 주소와 포트를 MAC Table에 저장한다.
Flooding : MAC Table이 가득차고 목적지 주소가 MAC Table에 없다면 전체 포트에 전달한다. (Broadcasting)
Forwarding : 목적지 주소가 MAC Table에 있으면 목적지 포트로만 전달한다. (Unicasting)
Filtering : 출발지가 목적지와 같은 세그먼트에 있는 경우에는 다른 세그먼트로는 보내지 못하게 막는다.
Aging : 오래된 MAC Table 데이터를 삭제한다.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한다.
IP 주소 기반으로 스위칭하며 라우팅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브로드캐스트 트래픽으로 전체 성능 저하를 방지한다.
스위치의 기본 수행 기능
VLAN : 스위치의 일부 포트를 가상 LAN으로 묶어서 불필요한 프레임 전송이 안되도록 구분한다.
트래픽 체크
전송 계층에서 동작한다.
L2만큼 많이 사용되고 있다.
서버나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할 수 있다.
TCP, UDP 등의 헤더를 보고 FTP, HTTP, SMTP등 어떤 프로토콜인지 확인하여 스위칭의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IP주소와 Port를 기반으로 스위칭한다.
L3의 기능 모두 수행
그룹화
부하 분산
응용 계층에서 동작하는 스위치이다.
응용 계층의 패킷까지 분석하여 어떤 데이터인지 알 수 있는 스위치로 보안 장비에 주로 사용된다.
웹 방화벽, 보안 스위치가 L7에 포함된다.
사실상 스위치보다 보안 장비라고 봐도 무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