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송 신호를 중앙으로부터 확장하여 서버나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연결해주는 단순 장치
리피터 기능 : 전송되는 전기 신호 증폭(100m 제한 거리 증가)
콜리전 도메인 (CSMA/CD 방식에 의해 통신을 하다 메세지가 충돌나는 범위)을 나누지 못함. 과거의 더미허브
스위칭 허브 (요즘 사용되는 허브)
신호의 증폭/재생(정형 = 일그러진 전기신호를 원래로 복구), 단순 송신
리피터 양쪽단에서는 같은 매체접근제어방식을 사용해야 함
특징
기능 : MAC 테이블 학습
MAC 주소 테이블 정의
브리지, 스위치가 프레임의 목적지 MAC 주소에 해당하는 포트로 정확하게 전달하기위해 사용하는 테이블
장치 내 RAM 상에 임시 저장 (전원 오프 또는 clear 명령시에 소멸)
Mac 주소 테이블의 기록 및 패킷 포워딩 동작
기능 : 스위치 루프 해결
브리지 루프 (또는 스위칭 루프) : LAN에서 프레임이 끝없이 순환을 일으키는 현상을 말함
브리지 루프 발생 이유
브리지 루프에 의한 영향
브리지 루프의 해소
브리지 기능
포워딩 (프레임 전달)
주소 학습 (MAC 주소 학습)
필터링 (Filtering)
플러딩 (Flooding)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 (Spanning Tree Algorithm)
스위치는 처리 방식이 하드웨어이고 브리지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속도는 스위치가 훨씬 빠르다.
브리지에 있는 포트들이 모두 같은 속도를 지원한다. 스위치는 서로 다른 속도를 연결해줄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스위치는 포트수가 다수 이다.
스위치는 cut-throught or store-and-forward 방식을 사용. 브리지는 오직 store-and-forward 방식을 사용.
라우터의 주요 기능
각기 독립적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들을 서로 연결시켜 준다. (Networking)
패킷 스위칭 기능 (Forwarding)
경로 설정 기능 (Routing)
라우터의 기타 기능
네트워크의 논리적 구조(Map)를 습득(Learning) 이를 위해 이웃하는 라우터와 지속적으로 라우팅 정보를 서로 교신
로드 밸런싱 : 라우터로부터 나오는 여러 케이블 선들의 Traffic량을 고루게 분산시켜 준다.
우회 경로 : 링크 중 하나가 고장나면 우회 경로를 구성시켜준다.
주요 특징 및 개념
경로 선택의 방식
정적 라우팅 : 사전에 사용자가 특정 경로를 설정
동적 라우팅 :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해 라우터가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ex) RIP, OSPF, IGRP 등등
용어의 혼용
L3 스위치란?
라우터 및 L3 스위치 비교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