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연히 RISC 기반의 프로세서 위에서, Apple Rosetta 번역기를 통해 x86 프로그램을 구동하므로 성능저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아무리 성능저하가 있을지라도, 이렇게 간단한 C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데 왜 성능 차이가 이렇게 크게 나는걸까요??
- 에뮬레이션 오버헤드: x86 프로그램을 ARM 프로세서에서 실행하기 위해 Rosetta와 같은 에뮬레이션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명령어 번역 및 실행에 따른 오버헤드가 발생합니다. 이는 원본 명령어를 번역하고 ARM 아키텍처에 맞게 실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최적화 부재: Rosetta는 x86 명령어를 ARM 명령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최적화를 수행하지만, 이는 완벽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특정 프로그램이나 작업에 대해서는 최적화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메모리 및 캐시 관리: x86과 ARM 아키텍처는 서로 다른 메모리 및 캐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x86 프로그램을 ARM 프로세서에서 실행할 때 메모리 및 캐시 관리에 대한 차이로 인해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하드웨어 호환성: x86과 ARM 아키텍처는 하드웨어 수준에서도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x86 프로그램을 ARM 프로세서에서 실행하는 경우 하드웨어 호환성 문제로 인해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몇몇 케이스로 나눠봤지만, 해답을 찾을 순 없었습니다. 그래서 중간중간 궁금해진 내용들을 찾아봤습니다.
최신 Mac App들은 Swift로 개발되는데, 어떻게 Docker와 같은 가상 환경을 구동하는지 궁금해졌습니다.
Apple에서는 위와 같은 가상환경 API를 제공하여 경량 가상 환경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아마 위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개발했지 않을까 추측해봅니다!
Intel Instruction ( CISC ) 인스트럭션을 만나면, 로제타는 자동적으로 실행되고 (OS 단에서 실행되는 것 같음) 해당 인스트럭션을 ARM프로세서가 이해할 수 있는 RISC로 자동으로 번역합니다.
RISC <-> CISC 방식의 프로그램 구동 차이가 인스트럭션 셋에 의한 것 이라면, 번역기 (Apple Rosetta)는 단순히 번역만 해주는 것 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