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Web) - 2020.12.28(Spring Boot -1)

BYEONGJUN KIM(JUN)·2020년 12월 28일
0

TIL(Web)

목록 보기
16/45
post-thumbnail

오늘은 Spring Boot 첫 시간 입니다!.

Today I learned

  • Spring Boot

Spring Boot Install 및 서버 실행하기

  • 설치 후 spring starter project 생성하기

  • 서버 실행하기

Spring Boot

  • 지금까지 웹서버의 메인함수는 톰캣이 가지고 있었다.
  • 하지만, 스프링부트는 본인이 메인함수를 가지고 있다.(스프링이 중심이 되어 톰캣을 컨트롤)

  • Controller
    • 과거 서블릿으로 웹을 개발할 때에는 페이지 하나당 컨트롤러 1개를 만들어서 사용했다.
    • 하지만, spring boot에서는 하나의 디렉토리당 하나의 컨트롤러를 사용할 수 있다.(하나의 컨트롤러에 여러개의 url매핑 가능)
    • 또한, 공통적인 매핑주소(경로)는 공통으로 관리할 수 있다.

  • RESTful API
    • 객체나 상태가 다른곳으로 그냥 전달 될 수 없다.
    • 전달하기 위해 representation해줘야 함.
    • API는 절차 언어가 호출하는 약속(함수형태)이다.
    • RESTful API는 함수형태는 아니지만 데이터를 전송 하기 위한 약속이다.
  • 컨트롤러의 클래스 이름이 같은경우
    • 서버에서 실행할때 각각 객체를 만드는데, 이름이 같을경우에 충돌이 난다.
    • 이를 해결하기 위해 컨트롤러에 이름을 달아줘서 해당 이름으로 객체를 생성하게끔 해주면 된다.

정리

Spring Boot 2.x
Spring 5.x 최신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웹 개발을 하는 것이 기본
=>톰캣 설정 + Servlet/JSP+JSTL+Spring 라이브러리 + Spring dependency..
=>실행환경 + 라이브러리 + 구성하기 설정=>부트

  1. 프로젝트 만들기
  2. 컨트롤러 추가 => URL 매핑하는 기능을 추가 : URL 매핑 엄청 편해졌다.
    => 출력 방법이 엄청 쉬워졌다.
    (1) 매핑
    (2) 출력
    (3) 입력
profile
Web Backend 개발자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