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스터디]REST/ REST API/RESTFUL

박준수·2022년 11월 17일
0

[웹 스터디]

목록 보기
1/19

이 게시물을 작성하게된 과정

2학년 2학기 테커 파트너스라는 동아리(?)에 들어가 웹 스터딩을 시작했다. 멘토님이 추천해준 책을 각자 공부하고 회의때 공유하는 스타일인데

이 책을 공부한다. 간단한 Todo웹을 만드는 프로젝트인데 그냥 뭘 모르고 따라하는 프로젝트가 아니라 왜 이렇게 사용하고 적용하는지, 웹의 전체적으로 돌아가는 부분들을 알 수 있는 책이다. 웹 개발 새싹인 나에겐 적합한 책이고 난이도도 알맞다. 머리가 똑똑하지 않기에 개념들이나 책을 진행하는 과정을 기록하고자 한다.

REST란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즉 REST란
1. HTT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을 통해 자원(Resource)를 명시하고,
2. HTTP Method(POST, GET, PUT, DELETE, PATCH 등)를 통해
3. 해당 자원(URI)에 대한 CRUD Operaiton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자원 : 해당 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모든 것(문서, 그림, 데이터, 해당 소프트웨어 자체)
  • CRUD Operation : 대부분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가지는 기본적인 데이터 처리 기능인 Create(생성), Read(읽기), Update(갱신), Delete(삭제)를 묶어서 일컫는 말로 REST에서의 CRUD Operation 동작 예시는 다음과 같다.

Create : 데이터 생성(POST)
Read : 데이터 조회(GET)
Update : 데이터 수정(PUT,PATCH)
Delete : 데이터 삭제(DELETE)

REST 구성 요소

  1. 자원(Resource) : HTTP URI
  • 모든 자원에 고유한 ID가 존재하고, 이 자원은 Server에 존재한다.
  • Client는 URI를 이용해서 자원을 지정하고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에 대한 조작을 Server에 요청한다.
  1. 자원에 대한 행위(Verb) : HTTP Method
  • HTTP프로토콜의 Method를 사용한다.
  • GET, POST, PUT, DELETE
  1. 자원에 대한 행위의 내용(표현)(Representations) : HTTP Message Pay Load
  • Client가 자원의 상태(정보)에 대한 조작을 요청하면 Server는 이에 적잘한 응답(Representation)을 보낸다.
  • Rest에서 하나의 자원은 JSON, XML, TEST, RSS 등 여러 형태의 Representation으로 나타내어 질 수 있지만 보통 JSON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REST의 특징

  1. Server-Client(서버-클라이언트 구조)
  • 자원이 있는 쪽이 Server, 자원이 요청하는 쪽이 Client가 된다.
  • REST Server : API를 제공하고 비지니스 로직 처리 및 저장을 책임진다.
  • Clinet : 사용자 인증이나 context(세션, 로그인 정보) 등을 직접 관리하고 책임진다.
  • 서로 간 의존성이 줄어든다.
  1. Stateless(무상태)
  • HTTP 프르토콜은 Stateless Protocal이므로 Rest 역시 무상태!!
    • HTTP: Stateless한 성격을 가진 '프로토콜'
    • REST: Stateless한 성격을 가진 '설계구조'
  • 이전 요청이 다음 요청의 처리에 연관되어서는 안된다.
  • Client의 Context(세션, 쿠키)를 Server에 저장하지 않는다. 외부 DB에 저장?(체크)
  • Server의 처리 방식에 일관성을 부여하고 부담이 줄어들며, 서비스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1. Cacheable(캐시 처리 가능)
  • HTTP가 가진 가장 강력한 특징 중 하나인 캐싱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 HTTP프로토콜 표준에서 사용하는 Last-Modified 태그나 E-Tag를 이용하면 캐싱 구현이 가능하다.
  • 대량의 요청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캐시가 요구된다.
  • 캐시 사용을 통해 응답시간이 빨라지고 REST Server 트랜잭션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전체 응답시간, 성능, 서버의 자원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서버에서 리소스를 리턴할 때 캐시가 가능한지 아닌지 명시할 수 있어야 한다.
  • HTTP에서는 caahe-control이라는 헤더에 리소스의 캐시 여부를 명시할 수 있다.
  1. Layered System(계층화)
  • Client는 REST API Server만 호출한다.
  • REST Server는 다중 계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 API Server는 순수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하고 그 앞단에 보안, 로드밸런싱, 암호화, 사용자 인증 등을 추가하여 구조상의 유연성을 줄 수 있다.
  • 또한 로드밸런싱, 공유 캐시 등을 통해 확장성과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날릴 때, 여러 개의 레이어로 된 서버를 거칠 수 있다.
  • 예를 들어) 서버는 인증서버, 캐시서버, 로드 밸런서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애플리케이션에 도착한다고 하자. 이 사이의 레이어들은 요청과 응답에 어떤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레이어 존재 유무를 알지못한다.
  1. Uniform Interface(인터페이스 일관성)
  • URI로 지정한 Resource에 대한 조작을 통일되고 한정적인 인테페이스로 수행한다.
  • HTTP 표준 프로토콜에 따르는 모든 플랫폼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 특정 언어나 기술에 종속되지 않는다.
  • 리소스에 접근하는 방식, 요청의 형식, 응답의 형식이 애플리케이션 전반에 걸쳐 URI, 요청의 형태와 응답의 형태가 일관적이어야 한다는 것이 일관적인 인터페이스 방침이다.

REST API란

  • API(Application Programminig Interface)
    데이터와 기능의 집합을 제공하여 컴퓨터 프로그램 간 상호작용을 촉지하며, 서로 정보를 교환 가능 하도록 하는 것

REST API : REST 기반으로 서비스 API를 구현한 것

최근 OpenAPI(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API: 구글 맵, 공공 데이터 등), 마이크로 서비스(하나의 큰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개의 작은 애플리케이션으로 쪼개어 변경과 조합이 가능하도록 만든 아키텍처) 등을 제공하는 업체 대부분은 REST API를 제공한다.

REST API의 특징

  • 사내 시스템들도 REST기반으로 시스템을 분산해 확장성과 재사용성을 높여 유지보수 및 운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 REST는 HTTP 표준을 기반으로 구현하므로, HTTP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언어로 클라이언트, 서버를 구현할 수 있다.
  • 즉, REST API를 제작하면 델파이 클라이언트 뿐 아니라, 자바, C#, 웹 등을 이용해 클라이언트를 제작할 수 있다.

RESTFUL이란

  • RESTFUL은 일반적으로 REST라는 아키텍처를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이다.
  • ‘REST API’를 제공하는 웹 서비스를 ‘RESTful’하다고 할 수 있다.
  • RESTful은 REST를 REST답게 쓰기 위한 방법으로, 누군가가 공식적으로 발표한 것이 아니다. 즉, REST 원리를 따르는 시스템은 RESTful이란 용어로 지칭된다.

RESTFUL의 목적

  • 이해하기 쉽고 사용하기 쉬운 REST API를 만드는 것
  • RESTful한 API를 구현하는 근본적인 목적이 성능 향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일관적인 컨벤션을 통한 API의 이해도 및 호환성을 높이는 것이 주 동기이니, 성능이 중요한 상황에서는 굳이 RESTful한 API를 구현할 필요는 없다.

참고 : REST_API1//REST_API2//Stateless

profile
방구석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