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지식
TCP통신이란?
- 네트워크 통신에서 신뢰적인 연결방식
- TCP는 기본적으로 unreliable network에서, reliable network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
- TCP는 network congestion avoidance algorithm을 사용
reliable network를 보장한다는 것은 4가지 문제점 존재
- 손실 : packet이 손실될 수 있는 문제
- 순서 바뀜 : packet의 순서가 바뀌는 문제
- Congestion : 네트워크가 혼잡한 문제
- Overload : receiver가 overload되는 문제
흐름제어/혼잡제어란?
- 흐름제어 (endsystem 대 endsystem)
- 송신측과 수신측의 데이터 처리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
- Flow Control은 receiver가 sender에게 현재 자신의 상태를 feedback한다는 점
- 혼잡제어 : 송신측의 데이터 전달과 네트워크의 데이터 처리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
endsystem? : 종단 시스템으로 쉽게 말하면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기. 호스트라고 한다.
전송 전체 과정
- Application layer : 보내는 사람의 응용 계층에서 socket에 data를 씀
- Transport layer : data를 segment에 감싼다. 그리고 network layer에 넘겨줌.
- 그러면 아랫단에서 receiving node로 전송됨. 이때, 보내는 사람의 send buffer에 data를 저장하고, 받는 사람은 receive buffer에 data를 저장함.
- application에서 준비가 되면 이 buffer에 있는것을 읽기 시작.
- 따라서 flow control의 핵심은 이 receiver buffer가 넘치지 않게 하는 것임.
- 따라서 receiver는 RWND(Receive WiNDow): receive buffer의 남은 공간을 홍보함
흐름제어(Flow Control)
- 수신측이 송신측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면 문제없지만, 송신측의 속도가 빠를 경우 문제가 생김
- 수신측에서 제한된 저장 용량을 초과한 이후에 도착하는 데이터는 손실 될 수 있으며, 만약 손실 된다면 불필요하게 응답과 데이터 전송이 송/수신 측 간에 빈번히 발생한다.
-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송신 측의 데이터 전송량을 수신측에 따라 조절해야한다.
해결 방법
Stop and Wait : 매번 전송한 패킷에 대해 확인 응답을 받아야만 그 다음 패킷을 전송하는 방법
Sliding Window (Go Back N ARQ)
- 수신측에서 설정한 윈도우 크기만큼 송신측에서 확인 응답없이 세크먼트를 전송할 수 있게 하여 데이터 흐름을 동적으로 조절하는 제어기법
- 목적 : 전송은 되었지만, acked를 받지 못한 받지 못한 byte의 숫자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는 protocol
LastByteSent - LastByteAcked <= ReceivecWindowAdvertised
(마지막에 보내진 바이트 - 마지막에 확인된 바이트 <= 남아있는 공간) == (현재 공중에 떠있는 패킷 수 <= sliding window)
동작방식 : 먼저 윈도우에 포함되는 모든 패킷을 전송하고, 그 패킷들의 전달이 확인되는대로 이 윈도우를 옆으로 옮김으로써 그 다음 패킷들을 전송
Window : TCP/IP를 사용하는 모든 호스트들은 송신하기 위한 것과 수신하기 위한 2개의 Window를 가지고 있다. 호스트들은 실제 데이터를 보내기 전 3 way handshaking을 통해 수신 호스트의 receive window size에 자신의 send window size를 맞추게 된다.
세부구조
-
송신 버퍼
- 200 이전의 바이트는 이미 전송되었고, 확인 응답을 받은 상태
- 200 ~ 202 바이트는 전송되었으나 확인 응답을 받지 못한 상태
- 203 ~ 211 바이트는 아직 전송이 되지 않은 상태
-
수신 윈도우
-
송신 윈도우
- 수신 윈도우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로 송신 윈도우를 지정하게 되면 흐름 제어가 가능하다.
-
송신 윈도우 이동
- Before : 203 ~ 204를 전송하면 수신측에서는 확인 응답 203을 보내고, 송신측인 이를 받아 after 상태와 같이 수신 윈도우를 203 ~ 209범위로 이동
- after : 205 ~ 209가 전송 가능한 상태
-
Selected Repeat
혼잡 제어(Congestion Control)
-
송신측의 데이터는 지역망이나 인터넷으로 연결된 대형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된다. 만약 한 라우터에 데이터가 몰릴 경우, 자신에게 온 데이터를 모두 처리할 수 없게 된다. 이런 경우 호스트들은 또 다시 재전송을 하게 되고 결구 혼잡만 가중시켜 오버플로우나 데이터 손실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네트워크의 혼잡을 피하기 위해 송신측에서 보내는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강제로 줄이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을 혼잡제어라고 한다.
-
또한 네트워크 내에 패킷의 수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현상을 혼잡이라 하며, 혼잡 현상을 방지하거나 제거하는 기능을 혼잡제어라고 한다.
-
흐름 제어가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의 전송속도를 다룬다면, 혼잡제어는 호스트와 라우터를 포함한 보다 넓은 관점에서 전송 문제를 다루게된다.
-
해결 방법
- AIMD(Additive Increase / Multiplicative Decrease)
- 처음에 패킷을 하나씩 보내고 이것이 문제없이 도착하면 window 크기(단위 시간 내에 보내는 패킷의 수)를 1씩 증가시켜가며 전송하는 방법
- 패킷 전송에 실패하거나 일정 시간을 넘으면 패킷의 보내는 속도를 절반으로 줄인다.
- 공평한 방식으로, 여러 호스트가 한 네트워크를 공유하고 있으면 나중에 진입하는 쪽이 처음에는 불리하지만, 시간이 흐르면 평형상태로 수렴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 문제점은 초기에 네트워크의 높은 대역폭을 사용하지 못하여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되고, 네트워크가 혼잡해지는 상황을 미리 감지하지 못한다. 즉, 네트워크가 혼잡해지고 나서야 대역폭을 줄이는 방식이다.
- Slow Start (느린 시작)
- AIMD 방식이 네트워크의 수용량 주변에서는 효율적으로 작동하지만, 처음에 전송 속도를 올리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존재했다.
- Slow Start 방식은 AIMD와 마찬가지로 패킷을 하나씩 보내면서 시작하고, 패킷이 문제없이 도착하면 각각의 ACK 패킷마다 window size를 1씩 늘려준다. 즉, 한 주기가 지나면 window size가 2배로 된다.
- 전송속도는 AIMD에 반해 지수 함수 꼴로 증가한다. 대신에 혼잡 현상이 발생하면 window size를 1로 떨어뜨리게 된다.
- 처음에는 네트워크의 수용량을 예상할 수 있는 정보가 없지만, 한번 혼잡 현상이 발생하고 나면 네트워크의 수용량을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다.
- 그러므로 혼잡 현상이 발생하였던 window size의 절반까지는 이전처럼 지수 함수 꼴로 창 크기를 증가시키고 그 이후부터는 완만하게 1씩 증가시킨다.
- Fast Retransmit(빠른 재전송)
- 빠른 재전송은 TCP의 혼잡 조절에 추가된 정책이다.
- 패킷을 받는 쪽에서 먼저 도착해야할 패킷이 도착하지 않고 다음 패킷이 도착한 경우에도 ACK 패킷을 보내게 된다.
- 패킷을 받는 쪽에서 먼저 도착해야할 패킷이 도착하지 않고 다음 패킷이 도착한 경우에도 ACK 패킷을 보내게 된다.
- 중복된 순번의 패킷을 3개 받으면 재전송을 하게 된다. 약간 혼잡한 상황이 일어난 것이므로 혼잡을 감지하고 window size를 줄이게 된다.
- Fast Recovery(빠른 회복)
- 혼잡한 상태가 되면 window size를 1로 줄이지 않고 반으로 줄이고 선형증가시키는 방법이다. 이 정책까지 적용하면 혼잡 상황을 한번 겪고 나서부터는 순수한 AIMD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
참조 : https://github.com/gyoogle/tech-interview-for-developer/blob/master/Computer%20Science/Network/TCP%20(%ED%9D%90%EB%A6%84%EC%A0%9C%EC%96%B4%ED%98%BC%EC%9E%A1%EC%A0%9C%EC%96%B4).md#tcp-%ED%9D%90%EB%A6%84%EC%A0%9C%EC%96%B4%ED%98%BC%EC%9E%A1%EC%A0%9C%EC%96%B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