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보다 크거나 같고, 9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가 주어질 때 다음과 같은 연산을 할 수 있다. 먼저 주어진 수가 10보다 작다면 앞에 0을 붙여 두 자리 수로 만들고, 각 자리의 숫자를 더한다. 그 다음, 주어진 수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와 앞에서 구한 합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를 이어 붙이면 새로운 수를 만들 수 있다. 다음 예를 보자.
26부터 시작한다. 2+6 = 8이다. 새로운 수는 68이다. 6+8 = 14이다. 새로운 수는 84이다. 8+4 = 12이다. 새로운 수는 42이다. 4+2 = 6이다. 새로운 수는 26이다.
위의 예는 4번만에 원래 수로 돌아올 수 있다. 따라서 26의 사이클의 길이는 4이다.
N이 주어졌을 때, N의 사이클의 길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0보다 크거나 같고, 9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첫째 줄에 N의 사이클 길이를 출력한다.
26 -> 4
55 -> 3
1 -> 60
0 -> 1
71 -> 12
지금까지 백준 단계별로 풀면서 제일 많은 생각을 거쳐 풀어낸 문제인 것 같다💦
#include <stdio.h> int main(){ int N, a, M, i=0; scanf("%d",&N); while(N != M){ M=N; a = M/10 + M%10; M = (M%10)*10 + a%10; i++; } printf("%d", i); return 0; }
입력 수에 대한 stop 조건을 안 줘서 시간 초과가 된 것 같다.
그래서 이전 문제를 통해 배웠던 EOF를 시전해봄
#include <stdio.h> int main(){ int N, a, M, i=0; while(scanf("%d",&N)!=EOF && N!=M){ M=N; a = M/10 + M%10; M = (M%10)*10 + a%10; i++; } printf("%d", i); return 0; }
M을 초기화시켜봤지만 while문 돌 때마다
M=N;
을 해버리니 당연히 틀림ㅠM=N;
은 while문 밖으로 빼는 게 낫겠다.
#include <stdio.h> int main(){ int N, a, M=-1, i=0; while(scanf("%d", &N)!=EOF && N!=M){ M=N; a = M/10 + M%10; M = (M%10)*10 + a%10; i++; } printf("%d", i); return 0; }
근데 이렇게 하니 while문에서
N!=M
조건을 만나기 전에 M에 값을 준 적이 없어서 틀림ㅠ 근데M=N;
을 while문 이전으로 옮기자니N!=M
조건에 바로 걸려버리고.. 고민하다가 EOF 버리기로 하고
#include <stdio.h> int main(){ int N, a, M, i=0; scanf("%d", &N); M=N; while(1){ a = M/10 + M%10; M = (M%10)*10 + a%10; if (N==M) break; i++; } printf("%d", i); return 0; }
이번 문제는 (내 기준) 좀 복잡해서 머리로 풀기가 헷갈리더라..
i++;
이랑printf("%d", i);
위치 바꿔서 다시 작성..!!
#include <stdio.h> int main(){ int N, a, M, i=0; scanf("%d", &N); M=N; while(1){ a = M/10 + M%10; M = (M%10)*10 + a%10; i++; if (N==M) { printf("%d", i); break; } } return 0; }
드디어.. 맞았다..!!!🥲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N, A, M, i=0; cin >> N; M=N; while(1) { A = M/10 + M%10; M = M%10*10 + A%10; i++; if (N==M){ cout << i << '\n'; break; } } return 0; }
오늘은 여기까지! 개강이 1주일 남았다니!😭